어려운 자동차 용어를 쉽게 알려드리는
자동차 용어사전
찾으시려는 단어를 직접 입력하시거나
색인을 통해 검색해 보세요.
'서스펜션' 검색결과 8건 처음으로
ECS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전자 제어 서스펜션))
노면 상태와 운전 조건에 따라 차체 높이를 변화시켜주는 전자제어 서스펜션으로 주행 안전성 및 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하는 장치이다.
댐퍼 (damper)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로, 제진기(制振器), 흡진기(吸振器)라고도 한다. 완충기가 주로 최초의 1행정에 대한 힘의 상태를 문제로 하는 데 견주어, 댐퍼는 그 뒤의 진동 경과 및 정상 상태에서의 진동을 그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두 가지를 겸한 장치가 적지 않다. 예로서 자동차, 철도 차량 등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장치되어 있는 서스펜션, 항공기가 착륙할 때 충격을 피하기 위해 다리에 장치한 완충기 등이 있다. 그 밖에 문이 급격히 개폐될 때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문에 장치하기도 한다. 또 굴뚝, 노(爐), 덕트 등에서 공기, 가스의 송풍량을 가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도 댐퍼라고 한다.
더블위시본 ( Double Wishbone)
서스펜션의 차륜과 섀시를 연결하는 부분의 모양이 빗장뼈의 모양과 닮은 데에서 위시본이라고 불린다. 성능은 물론 내구성도 뛰어나며, 조종성이 뛰어나다.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Rigid axle suspension)
바퀴가 축으로 연결된 자동차에 적용되는 서스펜션으로 구조가 단순해 튼튼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단가가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승차감과 성능은 떨어지는 편이다.
멀티링크 (Multi-Link)
3~5개의 링크 연결점을 사용한 독립식 서스펜션으로 우수한 성능과 승차감 덕에 주로 세단에 사용된다. 노면충격, 코너, 급제동, 급가속등 여러상황에서 상하 좌우 전후로 움직이며 충격을 모두 종합적으로 완화시킨다.
서스펜션 (Suspention)
현가장치라고도 하며 쇼크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암이 주요 구성 요소이다.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켜 승차감과 차량 안정성에 큰 역할을 한다.
에어 서스펜션 (Air suspension)
공기 압력을 이용해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
전자제어 서스펜션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노면 상태와 운전 조건에 따라 차체 높이를 변화시켜주는 전자제어 서스펜션으로 주행 안전성 및 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하는 장치이다.
좌측 목록에서 용어를 선택하시면 상세 설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별 등록량
닫기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