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동경모터쇼-포드 수퍼카 GT 등 8차종 출시


동경모터쇼-포드 수퍼카 GT 등 8차종 출시

2003 도쿄모터쇼 포드 전시차량
- 피에스타 랠리 컨셉트(Fiesta Rallye Concept)
- 포드 GT (Ford GT)
- 포커스 ST170 (Focus ST170)
- 몬데오 (Mondeo Sedan V6 GHIA Aero)
- 이스케이프 (Escape V6 3000 XLT)
- 머스탱 센테니얼 에디션 (Mustang Centennial Edition)
- 익스플로러 센테니얼 에디션 (Explorer Centennial Edition)
- 피에스타(Fiesta)

포드자동차는 오는 10월 22일부터 11월 5일까지 열리는 ‘2003 도쿄모터쇼’에서 컨셉카인 포드 피에스타 랠리 컨셉'을 선보인다.

'포드 피에스타 랠리 컨셉'은 포드의 소형차 부문의 베스트셀링 모델인 피에스타의 랠리 머신으로 추가된 후드와 루프의 공기흡입구, 어그레시브 프론트 그릴, 18인치 마그네슘 휠 등 각종 레이싱 부품이 적용되어 있다.

내부 역시 블루톤의 레이싱용 시트가 적용되어 있으며 레이싱용 컨트롤 스위치, 랠리 인스트루먼트 등이 적용되어 있어 완벽한 랠리 머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6V 1,600cc 듀라텍 엔진이 적용된 피에스타 랠리 컨셉은 포뮬라1과 WRC(World Rally Championship)을 포함해 유럽의 모터 스포츠를 책임지고 있는 포드 팀 RS (Ford Team RS)에서 개발하였다.

8,750rpm에서 최대 출력 210마력을 내며 차량중량은 1,000Kg

이 밖에 60년대 전설적인 레이싱카로 군림했던 '포드 GT'를 현대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부활시킨 '포드 GT', 포드 유럽의 자부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포커스(Focus)'와 '몬데오(Mondeo)등을 전시한다.

포드 창립 100주년을 맞아 특별 제작된 머스탱과 익스플로러 100주년 기념모델도 이번 모터쇼에서 만나볼 수 있다.

포드 GT
포드 GT는 1966년 부터 4년 연속 르망 24시 (Le Mans 24 Hours)챔피온 자리에 오르는 등 60년대 전설적인 슈퍼 레이싱카였던 포드 GT가 현대적인 감각과 기술로 새롭게 탄생된 모델.
‘Living Legend Studio’에서 제작한 디자인은 과거 60대 후반의 명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개발단계에서부터 전설적인 카레이서인 캐롤 쉘비(Carol Shelby)가 기술 자문으로 참여했다.
수퍼카라는 명성답게 5.4리터 V8 슈퍼차지드 DOHC엔진은 무려 500마력의 출력을 자랑한다. 6단 수동 변속기와 19인치 후방 타이어를 갖추고 있다.

포드 포커스 ST170
포드 포커스 ST170은 포드 유럽에서 제작한 포커스의 고성능 버전이다. ST는 Sports Technology를 나타낸다. 듀라텍 ST 엔진은 173마력의 출력을 내며 정교하게 튜닝된 흡기 및 배기 시스템은 최고의 운전성을 약속한다.

포드 몬데오 V6 가이아 에어로
포드 몬데오 V6 가이아 에어로는 2.5리터 V6 DOHC엔진과 5단 수동 모드를 갖춘 오토 트랜스미션이 적용되었다. 17인치 타이어, 5스포크 알루미늄 휠 등 에어로 키트가 적용된 것이 특징

포드 피에스타 (Ford Fiesta GHIA)
포드 피에스타는 76년 등장한 이래 2001년 뉴 피에스타가 등장하기까지 25년 내내 영국 베스트셀러 10위에 들어갈 만큼 꾸준한 인기를 누리며 유럽포드 성장의 기폭제 역할을 톡톡히한 효자 모델. 100마력의 1.6리터 듀라텍 16V 엔진이 장착되었다..

머스탱 센테니얼 에디션, 익스플로러 센테니얼 에디션
포드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전세계 한정생산되는 센테니얼 에디션은 모두 검정색(Black) 모델이며 기존 모델과 외형이나 성능은 같지만, 인테리어를 특별히 고급스럽게 바꾸고 기념 로고를 삽입한 것이 특징. 자동차 시트와 매트는 물론 자동차 인테리어 부분에 100주년 기념 로고를 박았으며, 자동차 후미 부분에 센테니얼 에디션 뱃지를 부착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7-13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