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1.14]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은 2003년 총 3백2십8만6천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는 전년 3백2십6만7천대의 판매량과 비교했을 때 안정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SA그룹은 프랑스 내수시장의 수요 급감과 유로화의 강세라는 시장 악조건 속에서 뛰어난 탄력적 영업능력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은 세계 자동차 시장의 5.8%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징
-서유럽에서 승용차부문과 경상용차부문의 시장점유율은 2001년 15%, 2002년 15.5%에 이어 2003년 15.4%를 기록하였다. 이는 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이 유럽에서 2번째로 큰 자동차 메이커라는 것을 입증할 만한 수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차량은 2.1%감소한 2백4십6만대였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시장에서는 1.6%가 감소한 수치이다.
-2002년 15.1%였던 시장 점유율이 2003년에는 등록차량대수 2백십만5천대, 점유율 14.8%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PSA 그룹은 유럽 승용차 부문에서 2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은 경상용차 부문에서 유럽 1위의 자리로 올라섰다. 한 해동안 35만4천대의 차량이 등록되었으며, 시장 점유율 또한 20.0%로 껑충 뛰어올랐다.
*2003년 그룹 확장 정책
-푸조의 206모델은 2003년 판매량이 81만9천대로 전년과 비교했을 때 2%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여러가지 시장 상황을 고려했을 때, 긍정적인 결과로 받아들여지며, 206모델의 인기와 2003년에도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2003년 9월, 307CC 쿠페-카브리올레 모델의 출시로, 307라인의 판매는 3%가량 증가하였다. 307은 2001년 5월 런칭이후 ‘2002 올해의 차’등 다수의 상을 수상한 모델이다.
-시트로엥은 성공적인 마케팅으로 ‘시트로엥 C3’을 2002년 4월에 대대적으로 런칭시켰다. C3은 2003년에만 34만2천대를 판매한 성과를 올려 결과적으로 시트로엥 브랜드의 전체적인 판매 성장을 이끌어 내었다. 스페인에서 열린 ‘2003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영광을 안기도 하였다.
-2003년 말에 출시된 C2 또한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모델이다. 이 새로운 모델의 출시로 2004년 소형차 부문에서 시트로엥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푸조 807과 시트로엥 C8의 성공으로 대형 MPV 판매는 2배 이상 증가하여 6만2천대의 판매성과를 올렸다.
-HDI(High-pressed Direct Injection)의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유럽 소비자들의 디젤엔진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서유럽>
PSA 푸조 시트로엥은 프랑스, 스페인, 벨기에, 포르투갈, 네덜란드, 덴마크에서 시장 선두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그리스, 스위스에서는 업계 2위에 랭크되어 있다. 서유럽 17개국 가운데 14개 국가에서는 시장점유율이 10%를 상회하는 유럽 최대의 자동차 메이커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승용차와 경상용차부문에서 등록차량 총 793,656이며 시장점유율 33.2%에 육박하고 있다. 푸조의 점유율이 전년 19.9% 대비 18.9%로 다소 하락한데 반해, 시트로엥은 전년 14%에서 2003년 14.3%로 다소 상승하였다.
<스페인>
점유율 22.4%로 당당히 자동차 업계 1위를 지키고 있다. 승용차 부문의 2위, 경상용차 부문의 1위인 시트로엥은 20만대의 등록차량대수를 기록하였으며 시장점유율 4.9%, 자체 성장률 5.3%의 증가를 보였다. 푸조는 17만6천대 등록으로 전년대비 2.6%의 성장률을 보였다.
<영국>
파운드 대비 유로의 강세가 이어진 영국에서는 시장점유율이 11.9%로 하락하였다. 영국은 판매량으로 보았을 때 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의 세번째로 큰 시장이다. 하지만 비효율적이었던 UK 마케팅 오퍼레이션의 대응책으로, PSA 그룹은 가장 이윤이 적게나는 세그먼트에서의 철수를 결정하였다. 2003년 판매는 약 9.1% 감소하였다.
<독일>
판매량 증가세는 이어져 2003년 20만 1천대의 판매고를 기록하였다. 등록대수 또한 7.9% 증가하였고, 시장점유율은 2002년 5.2%였던 것에 반해 2003년 5.9%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의 전체적인 수요가 약 4.9% 감소세를 보였던 이탈리아에서, PSA그룹은 2년 연속 시장점유율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등록차량은 약 7.7%증가하여 26만 4천대를 기록하였고, 10.9%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시트로엥의 C3의 인기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서유럽 외의 지역>
서유럽 이 외의 지역에서, 전년 대비 15.2% 증가한 81만8천대의 판매고를 보였으며, 이중 푸조가 56만2천대, 시트로엥이 23만6천대였다. 이는 그룹 전체로 보았을 때 24.9%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며, 2001년에는 18.8%, 2002년에는 21.7%였음을 감안하였을 때, 서유럽 이외의 지역에서의 판매가 증가추세임을 알 수 있다.
<라틴 아메리카>
아직은 어려운 경제적 환경 여건 속에서 판매량은 2% 하락하여 2003년 한 해 동안 총 10만7천대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팔렸다. 브라질에서 등록차량은 전체 시장이 8% 하락한 가운데 PSA그룹은 13%의 감소세를 보였다. 2002년 4.5%였던 시장점유율은 소폭 하락하여 4.3%에 머물렀다.
<중부/동부유럽>
판매량은 28% 증가하여 21만6천대를 기록하였다. 중부 유럽의 6개국(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과 터키에서 판매량은 27% 상승한 16만9천대 였으며, 시장점유율은 1997년 5.1%에 불과하였던 것이 2003년 12.7%로 대폭 상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중국>
총 10만4천대의 시트로엥을 판매하여 22%의 성장을 이루어 낸 중국에서, 판매량은 정확히 지난 2년동안 2배가 되었다. 동풍모터스와의 파트너십으로, PSA그룹은 중국 현지 공장인 동풍푸조시트로엥오토모빌(DPCA)에서 2006년 하반기부터 매년 3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능력을 갖추었다고 발표하였다.
<이란>
CKD 세일은 2003년에 전년 대비 43%상승하여 19만9천대를 판매하였으며 그 중 19만2천대가 푸조였다.
*2004년 전망
새로운 모델의 출시는 하반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2004년 전반기의 판매는 2003년 하반기와 비슷한 양상을 띌 것으로 예상되며, 푸조 407을 비롯한 새로운 모델의 런칭이 그룹의 더 빠른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미루어, PSA 푸조 시트로엥 그룹은 2004년 판매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