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도로교통공단, 2007년 전국 시·군·구별 교통안전지수 산출 발표


도로교통공단(이사장 정봉채)은 2007년도 전국 시·군·구 자치단체별 교통안전수준을 객관적·계량적 수치로 나타낸 종합교통안전지수 산출 결과, 서울 성북구, 경기 의왕시, 경북 울릉군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교통안전지수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자동차등록대수, 도로연장거리 등 기초자료와 교통사고 발생률 및 교통사고 희생률을 산출하여, 특정 자치단체의 교통안전도 수준을 객관적·계량적 수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종합교통안전지수 산출결과는총 232개 기초자치단체 중 111개 자치단체만이 전년도에 비해 교통안전지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21개 자치단체는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아직도 교통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국 69개 특별시 및 광역시 자치구지역의 경우, 서울 성북구가 42.49로 1위를 차지하여 교통안전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 도봉구가 55.84로 2위, 서울 양천구가 59.07로 3위, 서울 은평구가 66.59로 4위, 울산 동구가 67.89로 5위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부산 강서구가 344.93으로 전국 최하위를 차지했다.

전국 77개 시 지역의 경우는 경기 의왕시가 48.61로 1위를 차지하여 교통안전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충남 계룡시가 54.15로 2위, 강원 동해시가 58.56으로 3위, 강원 속초시가 70.96으로 4위, 경기 오산시가 75.33으로 5위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경북 영천시가 212.19로 전국 최하위를 차지했다.

전국 86개 군 지역의 경우는 경북 울릉군이 12.59로 1위를 차지하여 교통안전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 옹진군이 44.91로 2위, 인천 강화군이 52.86으로 3위, 강원 양구군이 58.02로 4위, 전남 완도군이 58.79로 5위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전남 영암군이 188.72로 전국 최하위를 차지했다.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의 경우는 서울특별시가 88.52로 전국 1위를 차지하여 안전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울산광역시가 91.15로 2위, 대전광역시가 92.66으로 3위, 제주특별자치도가 94.77로 4위, 인천광역시가 108.77로 5위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경상북도가 146.61로 전국 최하위를 차지했다.

전년대비 종합교통안전지수 순위 상승률 및 하락률 상위지역을 보면, 69개 자치구 중 전년대비 순위 상승률이 큰 자치구는 부산 연제구가 59위에서 20위로 39계단 상승하여 가장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천 동구가 31위에서 7위로 24계단 상승하여 2위로, 부산 금정구가 51위에서 28위로 23계단 상승하여 3위, 대구 수성구가 60위에서 38위로 22계단 상승하여 상승률 4위를 차지했다.

반면, 전년대비 순위 하락률이 큰 자치구는 대구 남구가 32위에서 62위로 30계단 하락하여 하락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전 대덕구가 23위에서 50위로 27계단 하락하여 2위, 광주 서구가 36위에서 59위로 23계단 하락하여 3위, 울산 중구가 24위에서 46위로 22계단 하락하여 하락률 4위로 나타났다.

77개 자치시 중 전년대비 순위 상승률이 큰 자치시는 전북 김제시가 76위에서 35위로 41계단 상승하여 가장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기 오산시가 44위에서 5위로 39계단 상승하여 2위, 전남 광양시가 46위에서 21위로 25계단 상승하여 3위, 충북 충주시가 54위에서 33위로 21계단 상승하여 상승률 4위를 차지했다.

반면, 전년대비 순위 하락률이 큰 자치시는 경남 밀양시가 15위에서 51위로 36계단 하락하여 하락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북 영주시가 38위에서 63위로 25계단 하락하여 2위, 강원 삼척시가 3위에서 26위로 23계단 하락하여 3위, 경기 수원시가 18위에서 40위로 22계단 하락하여 하락률 4위로 나타났다.

86개 자치군 중 전년대비 순위 상승률이 큰 자치군은 충북 보은군이 68위에서 10위로 58계단 상승하여 가장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북 진안군이 54위에서 14위로 40계단 상승하여 2위, 경북 영덕군이 67위에서 31위로 36계단 상승 그리고 경북 청도군이 77위에서 41위로 36계단 상승하여 상승률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전년대비 순위 하락률이 큰 자치군은 강원 양양군이 40위에서 81위로 41계단 하락하여 하락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강원 평창군이 32위에서 71위로 39계단 하락하여 2위, 충남 부여군이 38위에서 75위로 37계단 하락하여 하락률 3위를 차지하였으며 경북 봉화군이 23위에서 55위로 32계단 하락하여 하락률 4위로 나타났다.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순위 상승률이 큰 시도는 전라북도와 부산광역시로 각각 11위에서 8위로, 12위에서 9위로 3계단씩 상승하여 상승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년대비 순위 하락률이 큰 시도는 광주광역시가 5위에서 11위로 6계단 하락하여 하락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강원도가 9위에서 12위로 3계단 하락하여 2위를 차지하였다.

도로교통공단은 매년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별 교통안전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함으로써, 교통안전에 대한 자치단체장들의 관심을 촉구함으로써 교통안전사업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여 국가 교통안전수준을 높이도록 할 예정이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4-29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