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아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가 한 번 충전으로 633km를 완주해 실용성을 증명했다.
기아자동차㈜는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간 633km 거리를 수소연료 1회 충전만으로 완주하는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 시범주행」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대구(편도 294km)를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가 양산차 수준의 주행거리를 확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633km 실제 도로 주행테스트 결과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는 최초 충전된 수소 연료의 84%만 사용했으며, 이는 연료를 모두 사용할 경우 최대 754km까지 주행할 수 있는 수치다.
이번 시범주행의 성공으로 운행지역 확대, 수소충전소 건설 등 수소연료전지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향후 수소연료전지차 상용화 기간 단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차 관계자는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 시범주행은 한 번 연료 충전만으로 실제 도로 주행조건에서 600km가 넘는 거리를 완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번 성공으로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가 양산차 수준의 주행거리를 확보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말했다.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 시범주행」은 실제 도로주행 조건에서의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의 주행 성능을 측정하고, 미국 소비자들에게 친환경적 기업으로서의 기아차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자 마련되었다.
{img}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는 11월 2008 LA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기존 스포티지 수소연료전지차에 비해 대폭적인 성능 향상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는 3탱크 수소저장시스템(700기압)을 적용하여 수소연료 1회 충전만으로 7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는 양산차 수준의 주행거리를 확보하였으며, 이는 기존 스포티지 수소연료전지차의 최고 주행거리(384km)보다 2배 정도 높은 수치다.
또한, 기존 80kW 연료전지 스택(stack) 대비 출력이 44% 증가된 115kW급 자체개발 연료전지 스택과 에너지 회생저장장치인 수퍼커패시터(Supercapacitor)가 장착되었다.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는 지난해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서 선보인 콘셉트카 ‘아이블루(i-Blue)’에 적용된 언더플로어(under-floor) 플랫폼이 실제 차량에 최초로 적용되어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2004년 9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주관하는 수소연료전지차 시범사업자로 선정되어 미국 전역에서 수소연료전지차 32대를 시범운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6년 8월부터 지식경제부가 주관하는 수소연료전지차 모니터링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2009년 7월까지 버스를 포함한 34대의 수소연료전지차를 운행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차는 2010년부터 수소연료전지차의 시범운행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소량생산체제를 구축해 2012년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