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몽구)은 현대∙기아차의 디자인 역량을 높이고, 양사 간의 디자인 차별화를 통한 브랜드 혁신을 한 층 강화하기 위해 기아차 ‘피터 슈라이어’ 사장을 현대∙기아차 디자인 총괄 사장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현대∙기아차는 각 사 디자인 부문간의 조율을 통한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현대∙기아차 디자인 총괄 담당직을 신설하고, 피터 슈라이어 기아차 사장을 총괄 담당 사장에 임명했다. 이에 따라, 피터 슈라이어 사장은 향후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바탕으로 현대∙기아차의 장기적인 디자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현대차와 기아차 디자인의 역량을 한 층 강화해 나가는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특히, 각 사의 브랜드 방향성에 맞춰 현대차의 ‘플루이딕 스컬프처’, 기아차의 ‘직선의 단순화’ 등 디자인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고, 디자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양 사간의 디자인 차별화를 점검 및 조정해 나갈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경쟁력 있는 디자이너를 확보하고 육성할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의 경험과 역량을 전수하는 역할도 담당하게 될 전망이다.
이번 디자인 조직 강화는 질적 성장을 위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고객이 가장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디자인 부문에서 역량을 더욱 높이고, 디자인 차별화 기능을 한 층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현대∙기아차는 그 동안 전 세계 9개국, 30개 공장의 생산거점을 구축하는 등 글로벌 경영을 통한 외형적인 성장을 기반으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리딩 브랜드로 성장했다.
특히, 디자인 정체성 구축을 통해 성장한 현대∙기아차의 디자인 경쟁력은 외형적인 성장을 가져오는 데 중대한 역할을 했다. 현대차는 지난 2009년 ‘유연한 역동성’을 상징하는 ‘플루이딕 스컬프처’를 발표하고, 쏘나타를 시작으로 아반떼, 그랜저 등 신 차종에 적용해 왔으며, 아반떼는 북미, 캐나다, 남아공 올해의 차에 잇달아 선정되는 등 디자인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기아차 역시 지난 2007년 ‘직선의 단순화’라는 기아차만의 디자인 DNA를 확립하고, K5, 프라이드, 스포티지R 등에 이를 적용했으며, 이를 통해 레드닷, iF 등 디자인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러한 디자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대∙기아차는 지난 해 전년 동기 대비 약 8% 성장한 712만대를 생산∙판매해 글로벌 메이커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하지만 최근 유럽 재정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현대∙기아차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외형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을 통한 내실 경영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특히, 올 초 정몽구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품질을 통한 브랜드 혁신’을 올해 경영방침으로 내세우면서 현대∙기아차는 내실 강화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이를 위한 핵심 역량으로 디자인 부문을 강화하는 한편, 제품 디자인의 차별화를 통한 브랜드 포지셔닝을 확립해 질적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생산판매가 741만대 체제로 구축된 상황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양사의 고유 브랜드 컬러를 더욱 분명히 정립해 나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디자인 역량 강화가 핵심적 요소가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그룹 차원의 디자인 역량 강화에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피터 슈라이어 사장은 해외 유수 자동차 메이커에서 풍부한 디자인 경험을 갖고 있고, 현대∙기아차의 기업 문화에 대해 이해가 깊은 만큼 현대∙기아차가 일류 자동차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