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자동차 사각지대 줄여 안전운전 하려면?


자동차 사각지대는 운전 중에 확인이 불가능하며 룸미러나 일반 사이드미러로 관측할 수 없는 곳이다. 자동차 한대 당 사각지대는 6곳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사각지대는 곧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협한다.

남, 녀 운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3명 중 2명(64%)이 사각지대로 인해 실제 사고를 경험하고, 운전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운전 중 자동차 사각지대로 인해 사고의 위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운전자들이 사각지대의 위험성을 가장 크게 느끼는 상황은 차선 변경(45.6%), 끼어들기(43.1%)가 1, 2위로 주차(31.0%)보다 주행 중에 사각지대의 위험을 훨씬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사각지대로 인한 잠재적인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불스원에서 제시하는 사각지대를 극복하는 요령을 소개한다.

사각지대를 줄이는 올바른 운전습관

자동차의 구조적인 이유로 생기는 사각지대는 전방 4.25m, 운전자의 바로 옆인 왼쪽 1.15m, 오른쪽 4.4m, 후방 7.15m에서 발생한다. 우선 주행 중 생기는 측면 사각지대는 운전석에서 고개를 돌려 확인하는 숄터체크(Shoulder Check)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한다고 답한 운전자들 중 가장 많은 75.1%가 ‘직접 고개를 돌려서 확인한다(75.1%)’라고 했는데, 이는 안전운전을 위한 바른 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옆을 보는 동안 전방 주시를 못해서 생기는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주차나 후진 시에 나타나는 후면 사각지대는 실내에서 고개를 돌려 확인하는 습관은 줄이고, 다소 번거롭더라도 차에서 내려 직접 주변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사각지대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짐작이나 예상보다는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운전자의 시선에 방해가 되는 짙은 선팅을 자제하고, 실내 장식을 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런 것들이 운전자에게 왜곡된 판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광각 사이드미러와 같은 보조 장치를 사용한 넓은 시야 확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는 시야각이 넓고 다양한 각도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광각 사이드미러가 유용하다. 불스원의 ‘와이드미러’는 세계 최초로 비구면 누진 다초점 기술을 상용화한 광각 사이드미러로, 시야각(45도)이 일반 사이드미러의 시야각(15도)보다 넓어 옆 차선의 뒤 차량은 물론 주차 라인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평면거울이나 곡면거울보다 넓은 광시야각으로 차선 변경, 끼어들기, 주차 등의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다. 뿐만 아니라 동승자의 시야각도 확보되어 승, 하차 시 뒤 차량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야간 주행 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켰으며, 미러 전면에 불스원의 레인 OK 발수코팅 기술이 적용되어 우천시에도 선명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본 조사에서 불스원 와이드미러에 대한 실제 사용 만족도는 92.8%를 기록했으며, ‘차선 변경(94.2%)’, ‘사각 지대 확인(94.2%)’, ‘끼어들기(89.9%)’ 상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또 불스원몰에서 실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82%가 지인들에게 추천의사를 밝힌 만큼 소비자 만족도가 높았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4-29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