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봄바람을 타고 들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 때문에 봄 공기가 반갑지는 않다. 황사는 중국과 몽골 사막지대 등에서 우리나라로 날아온 흙먼지로 실제로 먼지보다 더 미세한 오염물질이다. 미세먼지는 입자크기가 10㎛ 이하인 먼지로 지름이 머리카락보다 작아 사람의 기관지나 체내로 쉽게 침투할 수 있다. 자동차도 예외는 아니다. 그렇다면 봄철 미세먼지에 대비한 자동차 관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불스원에서 제시한 봄철 미세먼지에 대한 대비요령을 소개한다.
미세먼지 유입 통로 자동차 필터 관리부터
에어컨∙히터 필터는 자동차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자동차 운행을 하게 된다면, 공조기를 내부 순환로 전환하는 것을 권유한다. 내부순환 모드로 설정 후 에어컨∙히터를 작동시키면 차량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공기가 순환되면서 필터를 통해 먼지가 계속 걸러지게 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 정화에 도움을 준다.
자동차 필터는 6개월 또는 1만km 주행 시마다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고, 특히 최근처럼 미세먼지가 많은 기간에 장시간 운행하는 차량들의 경우 필터에 먼지가 쌓이는 양이 많아져 통기성 및 필터 기능성이 나빠지므로 교체주기를 더욱 짧게 하는 것이 좋다.
뽀송뽀송 깨끗한 자동차 세차로 부식 방지
미세먼지는 납과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차 외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차를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 무리한 세차는 도장면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완벽하게 세정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카샴푸는 수성 타입으로 물에 쉽게 희석되고 세정력이 우수한 것을 선택하고, 차체표면 부식방지 효과를 지닌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세정 후에는 우수한 발수력으로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장면이 탈색 또는 변색되는 노화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카샴푸에 따라 자동차 도장면뿐만 아니라 타이어, 유리는 물론 매트까지 세정할 수 있는 멀티제품도 있어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카샴푸를 사용할 때에는 세차용 스폰지로 차체를 골고루 문질러준 후 닦아내기만 하면 된다. 이때 물기를 완전히 닦아주어야 얼룩이 생기지 않는다. 최근에는 고눙축 제형으로 소량으로도 풍부한 거품을 형성해 경제적이면서도 세차 후 별도의 왁스 작업 없이 도장면의 광택을 복원하는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자동차가 눈을 뜰 수 있도록 전면유리 관리
미세번지가 전면 유리에 쌓이게 되면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따른다. 운전 중 시야확보를 위해 워셔액을 분사해 와이퍼로 닦아내도 평소보다 훨씬 많은 미세먼지로 인해 유리에 작은 흠집이 생길 수 있다. 이 흠집에 물때나 기름 성분 등이 쌓이면 유리창에 뿌옇게 유막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깨끗한 시야확보를 위해서는 유막제거제를 구입하여 세정을 하는 것이 좋다.
유막제거제는 유리면의 각종 오염뿐 아니라 일반 세정제로 제거하기 힘든 오염물을 말끔히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유막제거제로 깨끗이 유리를 닦아낸 후에는 발수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발수코팅 워셔액이나 발수 코팅제는 유리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오염물 부착을 최소화하고 오염물이 묻어도 쉽게 제거가 되도록 도와준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