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버트보쉬 디젤 사업부가 자동차 엔진 유형별 소비자 인식과 클린 디젤 관련 태도 및 향후 구매 의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디젤 관련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하여 2014년 2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전국 6대 도시(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59세 남녀 자가 운전자 총 1,00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이번 조사는 2008년 11월에 처음 실시되었으며 이번이 네 번째이다.
이번 디젤 관련 소비자 인식 조사는 승용차 보유 현황 및 이용 행태, 자동차 엔진 유형 관련 인식 및 태도, 향후 자동차 구매 의향 및 구매 관련 태도, 클린 디젤 자동차 관련 태도, 기타 자동차 관련 태도 등 총 5개 영역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현재 소유 차량은 가솔린 엔진 차량(72.4%), 디젤 엔진 차량 19.2%, LPG 차량 7.7%, 하이브리드 차량 0.6%으로 나타났다. 디젤 엔진 별 차종은 레저형이 78.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디젤 세단형은 2010년 1월 조사에서는 6.0%에 불과했으나 이번 조사에서 21.3%로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자동차 엔진 유형 관련 인식 및 태도 조사에서 선호하는 엔진 유형은 가솔린 엔진(62.0%)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2010년 11월 조사(77.5%) 이후 선호율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 디젤 엔진은 2008년 11월 조사(14.5%) 이후 선호율이 꾸준히 상승하여 이번 조사에서는 23.8%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디젤 엔진의 장점으로 좋은 연비(55.8%), 저렴한 연료비(42.9%), 우수한 주행 성능(42.4%), 세제 혜택(19.2%) 등을 꼽았으며 불편한 승차감(53.6%)을 최대 단점으로 꼽았다. 2012년 1월 조사와 비교하여 좋은 연비에 대한 인식은 6.4%P 증가하여 디젤 엔진의 연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디젤 엔진 차량의 핵심 장점으로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향후 자동차 구매 의향 및 구매 관련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향후 구입하고 싶은 차량 1위는 국산-세단형이 56.2%, 희망 배기량은 2,000cc~2,500cc미만이 4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구입 희망 차량의 엔진 유형 중 디젤 엔진의 희망 비율은 31.1%로 2008년 11월 조사 시 14.4%보다 16.7%P 증가하여 디젤 엔진 구입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클린 디젤 자동차 관련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클린 디젤 용어 인지도가 30.9%, 클린 디젤 자동차 호감도가 59.7%, 클린 디젤 자동차 구입 의향이 44.4%로 나타났다. 2008년 11월부터 2012년 1월 조사까지 클린 디젤 용어 인지도(30.0%→40.2%), 클린 디젤 자동차 호감도(51.1%→70.3%), 클린 디젤 자동차 구입 의향(35.9%→52.3%)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14년 2월 조사에서는 감소하였다. 또, 클린 디젤 구입 의향률(44.4%)이 디젤 구입 의향률(59.3%)보다 낮게 나타나 이는 기존 조사와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더 이상 ‘클린 디젤’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만큼 일반 소비자들의 디젤에 대한 인식, 인지도, 호감도가 높아진 것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