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정비업계가 고질적인 불황에 시달리는 근본적인 원인은 정비업소당 자동차 관리대수(등록대수)가 평균 365대로 미국이나 일본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대표 최성희)는 \'자동차정비업 창업 및 경영전략\'이란 주제의 자료에서 최근의 정비업계 매출감소 원인은 경기침체에 따른 일시적인 정비물량 감소요인보다는 \'정비업소 공급 과다\' 현상 때문이라며 향후 상당수 정비업소의 도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성희 대표 컨설턴트는 “미국의 경우 정비업소 당 자동차 등록대수는 702대, 일본은 787대이나 우리나라는 365대로 절반 수준이어서 과열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 현상이 깊어지고 있다”며 “특히 부분정비업소의 급증이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은 또 주요 정비업주를 대상으로 정비업소 매출감소 원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의 48%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꼽았으며 이어 정비물량 감소(25%), 소비자 불신(14%, 업계 환경변화에 대한 정비업주들의 인식 부족(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비업주들은 이에 대한 대책으론 응답자의 71%가 정비기술 및 고객서비스 향상 노력이라고 답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이어 메이커 및 대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체인화(15%), 인터넷 경영 프로그램 등을 통한 경영개선(7%), 시설투자 확대(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최 대표는 또 “현재 국내 정비업계는 그동안의 낙후된 운영시스템과 마케팅의 열세를 다양한 프랜차이저와의 제휴를 통해 개선하면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동차메이커의 보증수리점과 SK 스피드메이트 등이 안정적인 환경을 구축한 데 이어 손해보험사들도 자사 네트워크를 활용해 긴급출동과 고객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대기업의 진출을 계기로 급격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 대표는 “이에 따라 일반 정비업소는 유력한 프랜차이저에 가맹하는데 힘쓰는 반면 대기업들은 우수 정비업소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고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기호 기자(khk@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