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중장기 연구개발 전략 수립!
- 2010년까지 총 1조원 가까이 투자, 연구인력도 1,700여명까지 확충
- '전자정보분야', 차세대 집중 육성 분야로 선정 … 첨단 기술 개발 박차
현대모비스가 향후 7년 이내에 세계적인 자동차부품업체인 델파이·보쉬·덴소 등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글로벌 톱10'에 진입하기 위해 첨단기술 확보를 통한 미래성장기반 확충에 본격 나섰다.
현대모비스(www.mobis.co.kr 代表理事:朴正仁)는 자동차부품의 주요 핵심분야에서 세계적인 첨단 기술을 선점, 2010년에 '세계적 기술 선도기업'으로 도약키 위해 최근 중장기 R&D 전략을 수립했다고 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이 중장기 전략에 따라 2010년까지 연구개발을 위해서만 매년 1,400억원씩 총 1조원 가까운 금액을 투자하는 한편, 현재 600여명의 연구인력도 1,700여명까지 3배 이상 대폭 늘리기로 했다.
특히, 세계적인 연구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 설립한 국내 최대 규모의 전자시험동 이외에, 2005년에는 ▲2천평 규모의 「첨단 모듈시험동」을 추가로 신축하고, ▲충원된 연구인력을 수용하기 위해 5천평 규모의 「연구동」을 신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용인에 ▲「기술연구소」 및 「카트로닉스 연구소」와 해외에 구축된 ▲「북미 디트로이트 연구소」▲「독일 프랑크푸르트 연구소」 ▲「중국 상해기술시험센터」를 연계, 각각 지역 특색에 맞는 글로벌 R&D 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같은 연구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현대모비스는 전략 모듈 개발과 함께, 특히 '전자정보분야'를 차세대 집중 육성분야로 선정,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DIS)·고급형 텔레매틱스(MTS)·지능형 안전차량(ASV)시스템·타이어 공기압 감지장치(TPMS)·42V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첨단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에는 첨단 모듈부품 분야 주요 설계기술을 확보하고 연료전지 등 미래기술을 포함한 모듈분야에서만 총 130여건에 이르는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자정보부품 분야에서도 현대 및 기아차의 20여개 차종에 대한 오디오 ▲AV 및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MTS) ▲ECU 등 신제품을 각각 개발하는 한편, ▲위성 DMB 단말기·ASV(전방충돌회피시스템·자율주행보조시스템)·42V시스템·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배터리 제어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위한 선행개발을 올해안에 완료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첨단 부품기술 개발을 가속화해 2010년에는 세계적 수준의 기술자립을 통해, 세계적인 부품업체 대열에 합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