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사소한 소모품 관리 소홀이 연료낭비의 주범


기름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연료절감이 운전자들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러나 적잖은 운전자들은 사소한 소모품 불량이 연료낭비의 주범이란 사실을 놓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스파크플러그다. 몇천원 짜리 스파크플러그의 교환시기를 넘긴 채 운행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10% 가량의 연료가 버려진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연료절감도 철저한 사전점검 및 정비에서 시작된다. 당장 지장이 없는데 굳이 수리비를 들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은 잘못된 절약방법이다. 스파크플러그, 배터리, 타이어, 연료필터 등 평소 관리에 소홀하기 쉽지만 연료소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모품을 알아본다.

▲스파크플러그
카본이 쌓이거나 중심전극이 규정치보다 마모되면 불꽃이 약해진다. 이 경우 엔진 내 연소실에서 혼합기가 다 타지 않아 연료가 낭비된다. 고속운전 때는 5~10% 가량 연료가 더 소모된다. 그러나 왠만해선 운전중 스파크플러그의 불량을 느끼기 힘들다. 스파크플러그로 인한 엔진 떨림 등의 현상으로 정상운행에 지장을 받을 정도가 되면 이미 연료낭비량이 10%를 넘어선 수준이다. 따라서 차종별 사용설명서에 명기된 주행거리마다 스파크플러그를 점검 및 교환해야 한다.

▲연료필터
전자제어엔진은 컴퓨터가 연료분사량을 결정한다. 그러나 연료필터를 제 때 바꾸지 않으면 인젝터에 걸리는 압력이 낮아져 충분한 연료를 분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연료분사시간을 늘려 결국 연료가 더 많이 소모된다. 상당수 운전자가 연료필터 교환에 신경쓰지 않고 있지만 차종에 따라 4만km 정도 주행 때마다 교환해주는 게 좋다.

▲배터리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면 전기(충전전류)를 많이 소모시켜 엔진출력을 빼앗아간다. 문제는 시동이 잘걸리고 엔진 떨림 등의 현상도 나타나지 않으면서 기름만 많이 먹는다는 것. 정상운행이 가능한 수준에서 극도로 나빠진 배터리는 10~20%까지 연료를 낭비하게 된다.
또 성능이 떨어진 배터리를 사용하면 컴퓨터가 인젝터 분사시간을 연장시켜 연료소모량이 늘어난다. 차의 모든 전기장치는 배터리가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성능이 약해지기 전에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배터리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이 10% 부족하면 연료가 5~10% 더 먹고 타이어 수명도 짧아진다. 또 20% 이상 공기압이 부족한 채로 운행하면 시속 130km 정도에서 타이어가 파열돼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광폭타이어는 일반 타이어보다 연료절약면에서 불리하다.


김기호 기자 khk@autotimes.co.kr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