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안산 스피드웨이, 정상화될 수 있나


안산 스피드웨이에서 자칫하면 내년 시즌 공식경기도 열 수 없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10월 안산 스피드웨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챔프카 월드시리즈는 대회를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전격 취소되면서 안산 경기장은 긴 터널 속으로 들어갔다. 물론 이전에도 대회 주관사인 더레이싱코리아(TRK)의 내부 문제, 인건비와 건설비 미지급 등으로 눈총을 받기는 했으나 본격적인 어려움은 챔프카 월드시리즈사의 일방적인 경기취소 통보에서 시작됐다.

이후 안산 스피드웨이 건설 및 프로모터 역할을 맡은 TRK(대표 김창환)와 경기장을 임대해준 안산시 간에 균열이 생겼다. 특히 지난 10월20일 송진섭 안산시장이 TRK를 배제한 채 기자회견을 열어 TRK의 지분참여, 매각, 합병 등을 검토한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양자 간 갈등이 노골화됐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TRK의 경기장에 대한 입지가 좁아지는 건 물론 농협과의 대출문제 등으로 인해 TRK가 더 이상 안산 스피드웨이에 관여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사단법인 안산시관광진흥협회(회장 하학명)는 TRK에 투자의향서를 안산시 기자회견 직후 제출하고 ‘시민들을 위한 레포츠 편의시설 제공을 통해 시민공원화하겠겠다’는 입장을 밝혀 상황이 반전되는 듯 보였다. TRK는 또 안산시에 5년동안 현 경기장 부지의 임대계약을 요청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기장 운영을 통해 국내 및 해외기업의 광고 스폰서 참여와 함께 안산시를 알리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반해 안산 스피드웨이의 생사 결정권을 쥔 안산시는 TRK에 대해 지난 10월31일 이후 토지사용 불허를 이미 밝힌 상태다.

TRK 관계자는 “안산시의 성급한 결정 때문에 TRK는 물론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등이 어려움을 겪게 됐고, 이는 곧 안산 스피드웨이에 대한 투자와 공사진척을 막는 결과를 낳았다”며 빠른 정상화를 위해 TRK와 안산시관광진흥협회는 안산시에 토지사용허가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챔프카 안산 경기 연기에 대해 TRK와 챔프카월드시리즈 그리고 안산시의 입장은 사뭇 다르다.

먼저 김창환 TRK 사장은 “경기 개최가 되기 30일 전에 기자회견을 통해, 심지어 취소 전날인 10월27일 경기가 확실히 열릴 수 있음을 자신하던 챔프카월드시리즈가 갑자기 연기를 발표한 이유를 알 수 없어 해명을 요구했지만 아직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특히 챔프카월드시리즈가 안산시를 통해 TRK의 임원이었던 김모 씨에게 포로모터 권한을 주라는 공문을 보낸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안산시는 이에 대해 챔프카월드시리즈와 같은 이유인 \'TRK의 자금능력과 경기에 대한 준비부족, 프로모터로서의 역할수행 부족\' 등을 거론하고 있다. 또 농협과의 대출관계, 건설 및 하도급업체와의 거래관계 등을 감안할 때 토지사용을 허가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TRK는 현재 모 보험사에 경기취소에 따른 보험을 들었으며, 보상금을 요청한 상태다. TRK 김 사장은 “보험사의 경우 챔프카월드시리즈의 일방적인 연기로 인해 경기가 열리지 못한 만큼 챔프카월드시리즈를 대상으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러나 소송이 인디애나폴리스 법정에서 열리기 때문에 승소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얽힌 실타래를 누군가가 풀어야 하고, 그 열쇠를 안산시가 갖고 있는 셈이다. 우선 시급한 일은 TRK, 안산시는 물론 챔프카월드시리즈를 배제한 채 경기장을 정상화하는 일이다. 모터스포츠 관계자들은 “내년 시즌 경기를 유치해 안산 스피드웨이에 들어가는 예산을 충당하고 프로모터와 안산시의 관계는 상황을 보면서 매듭을 풀어야 한다”며 \"안산시는 토지사용을 허가하고 경기장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터스포츠 관계자들은 \"문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단순히 내년 시즌 경기만 포기하는 게 아니라 경기장 자체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TRK측은 “토지사용허가가 수락되면 농협은 대출도 연기해준다는 입장을 발표했으므로 밀려 있는 토지사용료는 기부체납 방식을 통해 납부하겠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안산시가 경기장에 행사한 토지사용 불허 조치는 풀릴 것 같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결국 내년 시즌 경기 개최가 불가능해지는 건 물론 건설, 홍보, 유치 등에 들어간 총 금액 250억원(TRK 입장)을 회수하기에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특위를 가동중인 안산시의회가 나서서 빠른 조율을 통해 정상화를 앞당겨야 한다는 게 뜻있는 관계자들의 조언이다.

한창희 기자 motor01@autotimes.co.kr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5-16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