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되 휴대폰의 컨텐츠 사업자 등 특정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고급서비스는 유료화 하는 내용의 교통정보 수익사업모델 개발계획을 확정하고, 도시고속도로의 교통정보를 대상으로 교통정보 수익화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교통현황분석과 정기조사 등 교통지표 산출과 교통사업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민간사업자로부터 구매해 왔으며, 도로건설, 중앙차로 설치 등 각종 도로/교통 관련사업 시행시 효과분석 등 평가에 필요한 경우에도 수시로 민간의 자료를 구매하여 연간 5~6억원의 예산이 사용되어 왔다.
서울시는 그 동안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사업을 추진하여 양질의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수집 정보의 재생산 과정을 통해서 수준높은 교통정보를 생산하는 등 휴대폰 등 컨텐츠 사업자에게도 고급 교통정보를 판매할 수 있는 여건을 구비하여 왔다.
특히, 교통정보에 대한 개별/이동주체별 이용환경이 조성되었고, 민간사업자의 교통정보 컨텐츠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보가치에 대한 의식수준이 변화되어 차별화된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는 등 기술과 수익여건이 성숙됨에 따라 일반시민(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서비스를 넘어서 특정 수요자를 타깃으로 하는 유료서비스의 컨텐츠 개발 등 비지니스 모델 개발의 수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준비하여 왔다.
- 서비스 환경의 변화로 개인별 교통정보 이용 환경 조성
· 이용자 개인 중심의 주문형/맞춤형 서비스 요구 증가
· 다양한 개인휴대단말기 보급으로 교통정보컨텐츠 이용 수요 폭증
- 민간사업자의 부가 서비스로 교통정보 컨텐츠 개발 활발
· CP(Contents Provider),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사업자의 교통정보사업 영역 확대 및 활성화
· 차량 네비게이션, DMB, 텔레매틱스 등 교통정보서비스 이용 수요 증가
- 정보가치에 대한 의식수준 변화로 차별화된 유료 서비스 가능
· 개인별 특화된 맞춤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증가

· 다양한 매체와 접근을 통한 고급화된 교통정보 서비스의 생산
이러한 여건변화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지능형교통체계(ITS)사업으로 수집된 교통정보를 고품질 정보로 재가공·재생산하고,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교통정보의 공급/판매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교통정보 수익화 사업은 일반 시민(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인 직접 서비스는 무료 제공하고, 공공자원과 민간의 효율성을 접목하여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는 유료화하여 최저비용에 의한 최상의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교통정보의 재이용을 통한 가치의 재창출을 지향하고 있다.
교통정보의 수익화사업 분야는 차량항법장치(CNS, Car Navigation System)의 최적경로안내 서비스, 휴대폰 부가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사의 교통정보서비스, 각종 포털사이트의 교통정보제공 및 WIBRO 등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 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교통정보 수익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공공정보의 이용활성화로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통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고품질 시민서비스를 실현하고, 교통정보의 수익모델개발을 통하여 서울시가 교통정보의 구매자에서 판매자로 전환되어 기존 교통정보 구매비 절감과 함께 시수익금을 확보하며, 국가 IT산업의 발달에도 기여하는 등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교통정보 수익화사업의 일환으로 금년 10월부터 서울시의 지능형교통시스템에서 수집되는 교통정보중 가장 신뢰성이 높은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센터에서 생산되는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후 평가결과를 토대로 확대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은 도로구간 250~500m 간격으로 개별 차로당 설치된 1,044개의 첨단 차량검지기를 이용하여 30초 간격으로 통행하는 모든 차량에 대해 균등하고 균일한 분포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첨단 기법과 교통류 이론을 접목한 신뢰성 높은 교통정보를 산출하여 24시간 끊김 없는 운영체계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도로의 소통상황을 실시간으로 문자정보와 그래픽, 영상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그 동안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센타에서는 도로 운전자를 위한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인터넷, ARS 등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일방향 교통정보서비스와 이용자가 직접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이용하는 방식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왔으나, 통신기술의 변화와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환경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 휴대전화 등을 중심으로 대용량 영상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해지고, 도시고속도로 주요 정체구간, 사고다발구간 등에 설치된 CCTV(143개소)를 통해 수집된 실시간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그 동안 문자위주로 제공되던 단조로운 교통정보에서 탈피하여 보다 생생한 교통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금번에 시행되는 시범사업의 교통정보 수익화 대상은 도시고속도로에서 생산되는 문자형 정보(통행속도, 통행시간, 돌발상황 등 실시간 통행정보)와 영상정보(실시간 CCTV 영상)와 부가서비스(도로안내지도정보, 빠른 길 안내 등) 등이며, 공공교통정보를 이용한 특정서비스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특정서비스 사업분야>
- 차량항법장치(CNS, Car Navigation System)의 길안내 서비스에서 통행정보에 대한 부가서비스 기능 개발 추진
-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상용화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교통정보서비스 사업화 추진
- 휴대폰 부가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사의 교통정보서비스 사업 추진 활발
- 각종 포털사이트의 교통정보제공 및 WIBRO 등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증가에 따른 유무선 포털사이트의 교통정보서비스 사업화 추진
<교통정보생산 및 수익화 대상>
- 대상 범위 : 도시고속도로 및 남산권 지역, 한강교량 등 193km
- 대상 내용
▷ 문자형 정보 : 구간별(237개구간) 실시간 소통정보(통행속도, 교통량, 사고/고장 등 돌발상황 정보)
▷ 영상 정보 : 실시간 CCTV영상 (143개소), 정지영상
▷ 기타 정보 : 소통상황 지도, 빠른길 정보, 통행안내 정보 등
서울시는 교통관리시스템 위탁 관리기관인 서울시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하여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사업효과를 분석한 후 정보제공 구간을 시 전역으로 확대하는 한편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 시외곽 및 한강교량에 설치된 검지기를 통한 실시간 교통정보,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정보와 주차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확대사업 추진방안을 2008.3월에 마련할 계획이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