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자동차(사장 박상권)는 내달 5일 북한 남포에 짓고있는 \'평화자동차 공장\'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자동차 생산에 들어간다.
박 사장은 이날 낮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분간 조립 생산되는 자동차의 경우 북한 내수판매에 주력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평양에 전시 장과 주유소도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현지에서 북한 노동자 200명 정도를 고용한 평화자동차는 남포시 항구구역에 연 산 1만대 생산이 가능한 5천600평 규모의 조립 생산공장을 세우고 이탈리아 피아트(FIAT)사의 씨에나(Siena) 승용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박 사장은 또 \"내년말에는 더블로라는 왜건형 승용차도 생산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트럭과 구급차.소방차 등 특수자동차도 조립생산해 북한에 판매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당국은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1천대를 사주겠다고 약속했다\" 며 \"앞으로 북한과 평화자동차 기술연구소도 세워 본격적인 자동차 메이커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사장등 이 회사 관계자 등이 남포 현지에서 거행될 평화자동차 공장 준공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다음은 박 사장과의 일문일답.
--전력난은 문제가 되지 않나.
▲아직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
또 자동차 공장 정도는 발전기 1-2대 정도면 된다.
주파수에서 차이가 있지만 별도의 기계로 보강하면 되기 때문에 공장가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향후 판매는
▲당분간 북한에서 평양주재 대사관과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판매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평양 고려호텔 옆에 전시장도 세우고 남포와 평양에 주유소도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말에는 왜건형 승용차도 조립 생산할 계획이다.
북한에서는 사람도 타고 짐도 실을 수 있는 왜건형 차를 선호한다.
북한 당국도 1천대를 사주겠다고 약속 했다.
--노동조건은.
▲인건비는 한달에 1인당 100∼120달러 정도이다.
공장을 건설하는 동안 남쪽에서 기술지도 인력이 많이 들어갔다.
현재는 일본과 국내 기술자 20∼30명 정도가 체류하고 있다.
또 현재 현지 공장에서 고용된 북한 노동자는 200명 정도이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