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여름철 폭염 대비한 차량 실내온도 관리법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다. 여름에 사람이 쉽게 지치는 것처럼 자동차도 폭염에 영향을 받는 것은 마찬가지.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땡볕이 쏟아지는 한낮의 차량 실내 온도는 외부 온도의 2~3배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고온으로 인한 위험 요소는 무엇이 있는지 잘 숙지하고 올바른 차량 실내 온도관리법을 습득해 폭염에 대비하도록 하자. 보쉬코리아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가 제안하는 여름철 차량 실내 온도관리법을 소개한다.


주차의 핵심은 위치 선정
차량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내 주차. 외부 온도가 35˚c일 때, 실내에 주차한 차량의 내부 온도는 2시간 동안 약 10˚c 상승하지만 땡볕에 세워둔 차량은 70˚c까지 치솟는다. 부득이한 경우는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차창을 신문지로 가려주면 차량 실내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동차 뒤쪽을 햇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마주보게 주차를 하는 것도 좋다. 대부분의 차량 뒤쪽에는 틴트 처리가 되어있어 햇빛을 어느 정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고여 있는 실내 공기 갈아주기
실내 주차장이나 그늘에 주차를 해두었다 해도 낮 시간대라면 차량 내부 온도는 올라갈 수 밖에 없다. 차에 타기 전, 다른 창문은 모두 닫아둔 상태에서 조수석 창문만 내리고 운전석 문을 반복해서 열었다가 닫아주자. 문을 여닫을 때 비교적 시원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면서 뜨거운 실내 공기를 밀어내 내부 온도가 하강한다. 이 과정을 4~5번 반복하는 것으로 실내 온도는 절반 가까이 떨어진다.


경제적인 에어컨 사용방법
경제적인 에어컨 사용법은 무엇일까? 우선 에어컨을 틀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 스위치를 올리자.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역할을 해 단시간에 실내 온도를 떨어트릴 수 있다. 이후 에어컨을 작동시킬 때는 최대한 강하게 틀어 온도를 낮추는 편이 효율적이다. 이때 창문을 열어 자동차 실내의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어느 정도 차가 시원해지면 에어컨의 세기를 줄인다.

대시보드는 매우 뜨거워질 수 있다
한여름 야외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는 대시보드는 최고 100˚c까지 뜨거워진다. 따라서 대시보드 위에 습관적으로 소지품을 올려두는 것은 위험한 행동. 특히 핸드폰과 내비게이션 등의 전자기기는 고온에 변형되거나 고장이 날 확률이 높으며 배터리가 폭발할 가능성도 있다. 대시보드에 커버를 씌우거나 신문지 등을 덮어 직사광선을 차단해주면 대시보드의 온도 상승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터나 전자 기기를 두고 내리지 않도록 한다.


마시다 만 음료수 병이 폭탄이 된다?
여름철이면 자동차 안에 무심코 방치한 음료수 병이 폭발했다는 뉴스를 종종 들을 수 있다. 뜨거운 실내 온도로 인해 병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인데 새 것보다 먹다 남은 음료수 병이 더 위험하다. 이는 공기와 침이 섞여 미생물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병 내부의 압력을 높이다가 결국 폭발에 이르는 것이다. 남은 음료수 병이 있다면 즉각적으로 치우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4-28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