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불볕더위가 열대야가 시작되었다. 고온 다습한 여름철 환경은 자동차도 지치게 만드는데, 특히 제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브레이크는 안전과 직결되는 부품인 만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보쉬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에서 제안하는 여름철 브레이크 점검법을 통해 올바른 관리법을 알아보자.
여름에 더 뜨거운 브레이크
자동차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 안쪽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붙잡는 마찰력으로 그 속도를 줄인다. 이때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에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무더운 날씨에는 온도가 더욱 높아져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브레이크 패드 관리방법
브레이크 패드의 이상 여부는 소리와 발의 감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동 시 브레이크에서 날카로운 금속 마찰음이 발생한다면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이 다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브레이크에 부착된 인디케이터가 디스크와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기 때문.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반응이 늦거나 정차 시 밀리는 느낌, 끊어지는 느낌이 있다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상태를 확인해봐야 한다. 비정상적으로 페달을 깊게 밟아야 하는 경우에도 패드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브레이크 패드는 1만km마다 점검, 대략 3만km마다 교체를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운전습관에 따라 편차가 큰 편이므로 평상시에 바퀴의 정렬상태를 점검하고, 여유 있는 운전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가급적 급브레이크 사용을 삼가고, 브레이크 페달은 부드럽게 여러 번 끊어 밟으며 불필요한 브레이크 사용을 줄이는 것이 좋다.
브레이크 디스크에 찬물 뿌리지 않기
브레이크 디스크 역시 항상 높은 열에 노출되는 부품으로 마모와 변형에 주의해야 한다. 디스크 표면은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을 일으키는 부위이기 때문에 편평한 상태를 유지해야 안정적인 제동력이 보장된다. 브레이크 패드에 변형이 생긴 경우, 페달을 밟았을 때 반응속도가 느려지거나 소음 및 진동 등이 발생한다. 아울러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는 디스크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디스크 온도가 적당히 내려가기를 기다렸다 세차하는 것이 좋다.
브레이크 디스크 관리법은 패드와 같다. 특히 수명이 다한 브레이크 패드를 제때 교체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를 일으키므로 패드 교환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브레이크 패드와 달리 교체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평소 잘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브레이크 액 관리하기
여름철 브레이크 고장의 주범은 브레이크 액이다. 이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았을 때 유압을 피스톤에 전달, 피스톤이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주어 디스크와 마찰시키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액은 대략 4만km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으나, 주행을 하지 않더라도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가급적 1~2년에 한 번씩 점검 및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보닛에 있는 브레이크 액 탱크의 양이 기준치보다 적다면 패드의 마모나 브레이크 액의 누유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