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확대가 예상되는 수입차 시장

르노의 삼성자동차 인수가 확정된 가운데 개최된 수입차모터쇼는 수입차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번 수입차모터쇼에는 18개 자동차브랜드 120여종의 차가 전시되었다. 수입차모터쇼를 통해 소비자는 세계 유수 자동차업체의 전시차를 보고 자동차의 신기술과 트렌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해외 자동차업체 역시 수입차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로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수입선다변화 완전해제로 국내 진입이 가능해진 일본업체들은 이번 모터쇼를 통해 자사의 진출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수입선다변화 해제로 이미 완전한 시장개방이 이루어졌으며 르노의 삼성인수 확정으로 앞으로 내수시장을 두고 국내업체와 해외업체의 치열한 판매경쟁이 예상된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가 외환위기의 충격에서 빠져 나와 빠른 속도의 회복을 보이고 있어 장차 수입차의 판매가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통관기준으로 본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입은 94년부터 크게 증가했으나 98년 외환위기로 인한 경기침체로 대폭 하락했으며 99년 들어 소폭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96년의 경우 크라이슬러의 스트라투스, 네온 등 저가형 모델이 대거 투입되면서 2만 5천 여대의 수입을 기록했다. 그러나 98년 들어 고가격 자동차 및 고유지비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원화가치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자동차 수입은 3천 여대로 하락했다.


수입자동차판매협회의 판매실적 통계를 보면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입차의 판매비중은 96년에 0.8%를 기록했었다. 한편 작년의 승용차 내수판매는 60.3%라는 폭발적 증가세를 기록한데 반해 수입차 판매는 15.7% 증가라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고 점유율 역시 0.3%에 그쳤다. 이처럼 수입차 판매가 빠른 내수회복에도 불구하고 판매확대가 지연된 것은 외환위기중 붕괴되었던 판매망 재구축이 늦어졌고 국내업체가 경쟁력을 갖춘 고급승용차를 출시해 수입차 수요를 잠식한 결과이다.

자동차 수입추이(통관기준)

승용차에서의 수입차 판매비중

자료 : 무역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 자동차는 외국차에 대한 부정적인 소비자 인식과 더불어 높은 가격, 소비자 금융 부족, 높은 AS비용 등의 영향으로 판매가 저조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모델이 집중 투입된 96년에 수입차 판매가 크게 확대된 것으로 보아 수입차의 높은 가격이 판매를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입차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부품공급, AS 공장 등 판매인프라가 부족해 국산모델에 비해 유통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수입차 판매대수를 전망함에 있어서의 가정은 향후 10년동안 우리경제가 안정된 성장을 달성하면서 원화가치는 절상된다는 것이다. KDI의 장기 경제전망에 의하면 우리경제는 2001∼2010년 기간에 연평균 5.1%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며 1인당 GDP는 올해의 1만 달러 수준에서 2010년에는 21,000달러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일본차의 우수한 품질, 고객 니즈에 맞는 제품(소형, 고연비 등), 자국업체의 유통망 장악 등으로 80년대 초반까지 수입차의 판매는 매우 저조했다. 그러나 엔고로 수입차의 가격경쟁력 강화, 미국·EU의 통상압력, 소득수준 향상, 다양한 소비자 욕구 등으로 자국업체가 모든 수요를 커버하지 못함에 따라 수입차의 판매가 증가했다. 승용차에서 차지하는 수입차의 판매점유율 역시 85년에 1.7%에서 96년에는 8.4%로 빠르게 증가한 것이다.

우리 경제가 정상적인 성장궤도에 오름에 따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원화가치가 상승하는 등 수입차의 가격경쟁력은 점차 회복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수입차판매업체들도 판매망과 AS망을 지속적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체계적인 소비자 금융을 도입하는 등 판매인프라도 착실하게 구축하고 있다. 이외에 대중문화 개방 및 소비자 욕구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어 수입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 역시 소멸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입차 판매전망에 대한 시나리오
 낮은 점유율(3~4%)의 조건높은 점유율(8~10%)의 조건
상품전략 고가격의 고급승용, 고급 RV
중심의 판매(수익성 중시)
중대형 승용 등 대중차 투입
(점유율 중시)
판매체제 딜러, 상사를 통한 간접판매
적정이윤 확보
판매인력 아웃소싱
현지법인, 직영딜러 직접판매
적정 MS확보
판매인력 양성
A/S 소규모 운영 주요도시 대규모 A/S 운영
국내 업체와 네트웍 구성
환율 원화가치 저평가
1$=1,000∼1,200원
원화가치 고평가
1$=800∼900원
외국업체의
국내생산전략
기존모델 생산, 내수위주 공급
소규모 현지생산
내수와 아시아 수출을 위한
대중차 대규모 현지생산
공통요인 안정적 경제성장, 소득증가, 수요의 다양화, 정형화된 수요패턴 소멸
대중문화 개방에 따른 수입차의 부정적 이미지 소멸, 수입차업체의
판매활동 강화등 전반적인 수입차 판매여건 호전

이처럼 수입차 판매여건은 전반적으로 호전되는 추세이지만 수입차 판매가 대폭 증가하기 위해서는 상품전략, 판매인프라, 가격, 생산체제 등 여러 가지 조건이 서로 맞물려야 한다. 따라서 향후 2~3년 이내에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지는 못하겠지만 2002년 월드컵 공동개최를 계기로 일본차를 비롯한 수입차 판매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어 2003년 이후에는 높은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차 판매는 올해 5천 여대, 내년에 8천 여대로 빠르게 증가하여 2002년에는 1만대 돌파가 예상된다. 또한 2006년에는 5만대 수준에 근접하고 이후 증가율은 다소 낮아지겠지만 매년 12만대 가량 판매가 증가해 2010년에는 10만대 이상의 판매가 전망된다. 현재 국내 수입차 시장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차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본차 역시 강력한 상품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점유율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은 유럽차와 미국차가 7:3으로 차지하고 있는 수입차 시장은 2005년을 넘어서면서 미국, 유럽, 일본이 각축하는 경쟁체제로 변화될 것이다.

앞으로 소비자들의 선택기준으로 수입차냐, 국산차냐가 아니라 품질 및 서비스 등 제품의 기본기능이 중시될 것이다. 여러 기관에서 실시한 소비자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들은 안전성, 품질, 효율성 등에서 수입차를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국산차 가격 대비 30% 정도는 추가로 부담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업체들은 품질과 성능 등을 개선하고 보다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감동시키지 못한다면 가격경쟁력만으로 수입차와 경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자료 : 자동차경제]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2

0 / 300 자

asoz*** 2019-12-10 13:05 | 신고
스트라투스? 네온???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bobo***** 2017-09-01 16:59 | 신고
믿거현이 저시절부터 생겼지.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인기매거진

2025-05-09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