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승용차의 옵션장착 추이


승용차의 주요 옵션장착 패턴이 점차 안전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동변속기와 같은 편의성 옵션의 장착률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에어백과 ABS와 같은 안전과 관련된 옵션의 장착률은 높아지고 있다.

승용차의 주요 옵션장착률 추이를 보면 이와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변속기는 94년 이후 장착률이 증가해오다가 97년을 정점으로 장착률이 낮아지고 있다. 99년의 경우에는 57.7%로 98년과 거의 같은 장착률을 기록하였다. 98년 이후 자동변속기 장착률이 낮아진 것은 IMF 경제위기로 인해 소득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휘발유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유지비 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동변속기에 대한 선호가 커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의 장착률은 94년에 13.7%였던 것이 99년에 20.0%로 높아졌다. 에어백 장착률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99년에 큰 폭으로 높아졌다. 94년 6.2%를 기록했던 에어백 장착률은 99년에 39.9%로 크게 높아졌다. 특히 경기침체와 관계없이 계속하여 장착률이 상승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알루미늄 휠의 장착률은 94년에 40.3%로 다른 옵션에 비해 장착률이 높았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97년 이후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승용차 주요 옵션장착률 추이

자료 : 현대자동차, 자동차산업, 각년도판


차급별 주요 옵션 장착률을 보면 소비자들의 성향을 좀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대형의 경우에는 편의성과 관련된 옵션은 거의 기본으로 장착되고 있는 가운데, 안전성과 관련된 ABS와 에어백의 장착률도 100% 가까운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중형 이하에서는 98년 이후 편의성 보다는 안전성을 보다 고려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충돌사고시 승객의 안전과 큰 관계가 있는 에어백의 장착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안전에 대한 의식변화를 엿볼 수 있다.


자동변속기의 경우, 대형승용차는 거의 100%에 가까운 장착률을 보이고 있다. 중형은 98년에 80%대를 기록했으나, 99년에는 75.6%로 낮아졌다. 중소형과 소형의 경우에는 98년과 99년 연속해서 장착률이 낮아졌으며, 경차의 경우에는 98년보다 99년에 장착률이 조금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형보다는 중형 이하의 차급에서 운전의 편의성보다는 경제성을 좀더 비중있게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BS의 경우에는 전차급에서의 장착률은 17%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차급별로 보면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형의 경우에는 97년을 제외하면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98년과 99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여 99년에 98.5%의 장착률을 기록하였다. 반면 중형은 98년에 크게 높아졌다가 99년에 다시 낮아졌으며, 중소형은 이와 반대로 98년에 낮아졌다가 99년에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옵션 중 장착률이 가장 큰 폭으로 높아진 것은 에어백이다. 에어백은 99년에 39.9%의 장착률을 기록하여 98년에 비해 17.8% 포인트가 높아졌다. 차급별로 보면 대형과 중형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99년에 각각 98.7%와 72.1%를 기록하였다. 장착율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난 차급은 중소형이다. 중소형의 에어백 장착률은 98년에 1.4%였던 것이 99년에는 무려 50.6%로 크게 높아졌다. 이것은 99년 4월부터 현대 아반떼에 에어백이 기본사양으로 장착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소형 이상의 차급에서는 안전관련 옵션 장착률이 크게 높아진 것에 비해 소형과 경형의 경우에는 여전히 낮은 장착률을 기록하고 있다.


알루미늄 휠의 경우에는 대형은 100%, 중형은 84%, 중소형은 78%의 장착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반해 소형은 11.7%로 아주 낮은 장착률을 보이고 있다. 옵션 장착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정책적 규제, 소비자들의 의식, 주요 옵션의 기본 장착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측면에서 안전성에 대한 고려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관련 옵션의 장착률은 계속 높아질 것이다. 그런데 차급별 옵션 장착률 추이에서 본 바와 같이 전체적인 안전관련 옵션 장착률은 높아지고 있지만 소형과 경차의 장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 차급의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주요 옵션 차급별 장착률 추이

자동변속기


ABS



에어백



알루미늄 휠

자료 : 현대자동차, 자동차산업, 각년도판

[자료 : 자동차경제]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2

0 / 300 자

asoz*** 2019-12-10 13:04 | 신고
안전은 기본으로 깔고 옵션을 해야하는데..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bobo***** 2017-09-01 17:00 | 신고
오우 개극혐 옵션 장난질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이전글
확대가 예상되는 수입차 시장
다음글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5-09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