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정비] [부분정비업 경영&마케팅] 9.매장설계 및 장비


" 규모ㆍ영업아이템 따라 장비 마련"



업소에 맞는 장비류를 구입하고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정비업소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종합, 소형, 부분정비업으로 나뉜다. 이 중 부분정비업소 등록 및 운영에 필요한 장비류에 대해 알아본다. 부분정비업소의 장비는 법적 등록을 위한 필수보유 장비, 각 업소의 규모에 따라 필요한 장비, 각 업소의 영업 아이템에 따라 추가로 구입해야 할 장비류로 나눌 수 있다.


자동차관리법에 규정된 필수장비는 리프트, 배출가스 측정기, 부동액 회수재생기, 타이어 탈착기, 휠밸런스 등이다. 업소의 규모에 따라 추가해야 할 장비는 작업장 크기에 따라 리프트와 개인용 공구세트의 추가 구입여부를 판단하며 영업 아이템에 따라서는 휠 얼라이먼트, 엔진튠업기 등이 필요하다. 이들 장비 외에 엔진오일주입기, 오일드레인, 에어컨가스주입기, 에어컴프레서, 자동변속기오일교환기, 수동변속기오일 교환기, 브레이크오일 교환기 등도 추가 구입 대상이다. 3개의 리프트를 설치하고 정비인력 3명이 일하는 업소라면 장비와 공구류 구입금액으로 3,000만원 이상을 준비해야 한다.


몇가지 중요한 장비 및 공구류에 대해서 짚어보자. 첫째, 리프트의 종류는 4주식, 2주식, X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X-타입은 매립식과 돌출식으로 분류하고 2주식은 기둥형과 대문형으로 나누며 4주식은 얼라인먼트 전용 차량상승기로서 기둥이 4개인 것과 지주가 없는 것을 일컫는다. 둘째, 타이어탈착기와 휠 밸런스기는 고급형 제품을 구입하는 추세다. 요즘은 소비자의 개성이 다양해지면서 큰 사이즈의 타이어와 휠을 장착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배출가스 측정기는 법정 장비이므로 업소를 운영 하려면 꼭 구입해야 한다. 2003년 4월1일부터 시행된 법규의 개정으로 배출가스 정밀검사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배출가스 측정기는 Nox(질소산화물)의 측정이 가능한 4가스 측정기를 구입하는 게 낫다. 넷째, 부동액회수재생기는 폐유처리업체를 통해 처리할 경우 계약서를 첨부하면 업소 등록이 가능하지만 구입해 활용하는편이 좋다. 다섯째, 에어컴프레서는 업소 주변의 소음 방지를 위해 다소 가격이 높은 저소음 컴프레서를 구입하거나 컴프레서를 설치할 때 방음장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브레이크액 교환기 및 자동변속기오일 주입기는 의무보유 장비는 아니지만 고객의 신뢰감과 업무효율을 위해 구입하는 추세다. 자동오일주입기는 업소의 환경과 캔 사용 시 남은 오일처리에 문제가 있으므로 차량별로 정확한 오일주입을 위해 자동오일 주입기와 오일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그 외 미션잭, 부싱베어링 탈착기, 에어릴 또는 전기릴 등은 작업시간 절약에 유용하다.


개인용 공구세트는 통상 1세트를 1~3명이 함께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상 비능률적이므로 각 정비사마다 1세트씩 지급하며 반납 시까지 책임지도록 해 훼손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요즘 의식있는 정비인들은 개인공구를 소장하고 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비사 개인에게 최소한의 공구류를 지급해 개인 책임 하에 사용케 하는 게 좋다.


그 밖에 업소 운영 시 필요한 공구류는 충전드라이버, 차의 고장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스캐너, 망치를 사용하지 않고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는 에어해머, 각종 볼트와 너트를 정확하게 조일 수 있는 토크렌치, 안전에 필요한 보호안경 등이 있다. 개인 공구류의 가짓 수는 개인 공구함까지 약 80종, 공용 공구는 90종 정도가 소요된다. 또 자동공고주입기, 적외선 온도계 등이 필요하나 처음에는 가격이 저렴한 것을 사용하고 추후에 구입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객의 차를 정비하기 전에 차를 청결하게 하기 위해 고객의 운전석 시트에 씌우는 시트커버, 바닥에 까는 매트, 핸들에 씌우는 핸들커버, 엔진부위 작업 시 차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펜더커버를 몇 세트 준비해 사용하면 고객으로부터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고객관리용 컴퓨터는 예전에는 아예 없거나 사무실에 1대를 설치해 사용했으나 요즘은 현장위주의 업무를 활성화 하기 위해 업소 안에 자체 LAN(근거리통신망)을 설치해 업소 규모에 따라 2대 이상을 설치하고 있는 추세다. 요즘은 각종 튠업기 등도 인터넷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LAN에 연결해 자료를 수시로 받고 있다. 이 때 고객용 컴퓨터도 같이 연결되므로 작업장에서 고객차의 진단결과나 이상있는 부분의 사진을 보관하고 이를 고객용 컴퓨터에서 같이 보고 정비영업과 연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장비와 공구류를 구입할 때는 미리 시장조사를 해 각 품목별, 업체별로 상품정보를 입수한 뒤 가격, 성능, 유지보수, 내구력 등을 신중하게 비교검토해 선택해야 한다. 일부 품목의 장비, 공구류는 구입하고 난 후에 처음에는 사용하다가 곧 쓰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각 장비별 사용방법에 필요한 설명서, 문제발생 시 유지보수처리 절차 및 연락처, 장비의 주요한 기능 및 사용한계 등을 기록, 보관해 주기적으로 업소 근무자들이 숙지하고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성희〈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 대표 컨설턴트 afcsh@hotmail.com 02-991-8522〉


*이 글은 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에 속해 있는 6인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집필합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5-06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