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정비] [부분정비업 경영&마케팅] 11.상품 및 수량 설정


"상품ㆍ재고관리가 성공포인트"


부분정비업소 운영에 관련된 상품은 고객으로부터 의뢰받은 정비서비스에 필요한 부품과 고객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갖추는 용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업소 규모와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상품 및 재고관리는 성공적인 업소 운영에 중요한 요인이다.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현금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업소 경영을 악회시키는가 하면 비용절감과 매출증대에 기여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정비작업에 사용되는 부품은 자동차의 특성상 모든 부품을 비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 부품은 그때그때 작업에 따라 근접한 부품대리점에 실시간으로 주문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소 사용의 빈도가 잦고 다양한 차종에 호환이 가능하며 부피가 적어 보관하기 쉬운 제품들은 미리 적정량을 구해 정비업소에 비치해 놓고 사용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제품으로는 오일류, 배터리, 브레이크 라이닝 및 패드, 에어클리너, 오일필터, 부동액, 전구 등이다. 이와 함께 업소의 운영전략에 따라 점화관련제품(점화플러그, 배선, 디스트리뷰터 캠, 로터), 타이어, 알루미늄휠, 연료필터 등도 비치 대상이 될 수 있다. 최근 신차종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항균필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한 용품은 대부분의 정비업소에서 전시해 놓고 판매하고 있다. 요즘엔 특정분야의 전문업소가 활성화되면서 취급하는 용품의 수는 감소되고 있으며 정비작업과 관련된 제품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업소 규모가 큰 곳은 객단가(고객 1인당 매출액)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휴게실에 용품을 전시함으로써 고객의 상품접촉 기회를 늘려 부가적인 매출을 증진시키고 있는 것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용품은 유행성, 계절성, 보편성 용품으로 나눌 수 있다. 유행성 제품은 네온, 내비게이션, GPS 무인단속경보기 등이다. 계절성 용품으로는 스노우체인, 시트커버 등이 해당된다. 보편성 용품은 자동차관리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보조품으로 경보기, 방향제, 왁스류 등이다. 이 외 정비업소에서 정비사의 기술적 작업과 함께 판매할 수 있는 용품은 엔진성능 향상을 위한 케미컬류, 출력증강 제품 등으로 이는 수익성이 높아 많은 정비업소에 적용되고 있다. 또 판매수익보다는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제품도 있다. 이는 잡자재(퓨즈, 터미널, 테이프, 본드, 납 등) 전구, 워셔액, 타이어 펑크 실, 장갑 등이 있다.


이들 제품의 적정량을 업소에 보유 및 관리하는 것을 재고관리라 한다. 정비서비스용 부품은 최근 10년 간의 자동차메이커 및 차종별 시장점유율, 판매대수, 업소의 과거 매입자료 등을 분석해 사용빈도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적정수량을 구입해 관리해야 한다. 현금 유동성을 위해 배터리, 라이닝, 패드 등 품목 수가 많고 판매예측의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는 위탁판매를 검토한다. 타이어, 윤활유 등 판매량 예측이 가능한 제품은 대량 현금구매를 통해 매입가격과 판매가격의 차이를 수익으로 실현해야 한다.


정비업소의 상품 및 재고관리! 어떤 제품을 구성하는가의 문제의 접근에는 다양한 매체의 접촉을 통한 정보수집 능력과 고객분석이 요구된다. 적정한 재고의 관리에는 체계적인 재고관리 및 예측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최성희<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 대표 컨설턴트 afcsh@hotmail.com 02-991-8522>


*이 글은 한국자동차경영컨설팅그룹에 속해 있는 6인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집필합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5-08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