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부품·용품] 여름철은 배터리 관리에 신경써야


여름은 자동차에게 곤혹스런 계절이다. 수온주 온도가 올라가면서 생각치 못한 고장이 일어날 수 있어서다. 그 중 하나가 배터리다. 장시간 운전으로 인해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방전 및 과부하가 발생, 예상치 못한 낭패를 당할 수 있다. 배터리의 수명은 관리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일반승용차는 3∼4년, 택시 및 상용차는 1∼2년이다. 자동차가 첨단화되고 전자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최근엔 배터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능
 배터리는 엔진 시동이 걸려서 스스로 돌아갈 때까지 스타트 모터를 회전시키고 점화장치와 연료분사장치를 작동시켜 엔진을 움직인다.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필요한 모든 전기장치를 가동시킨다. 엔진이 작동되기 전까지의 모든 전기장치는 배터리가 구동력이 되는 셈이다. 엔진 시동이 걸린 후에는 발전기가 이 역할을 하며 발전기에서 남은 전기가 배터리에 지속적으로 충전된다. 발전기 용량을 넘은 전기는 배터리가 구동시킨다.


 ▲종류
 배터리는 습식(wet)과 건식(dry) 두가지가 있다. 건식은 전해액이 채워져 있고 충전된 상태여서 바로 쓸 수 있다. 건식은 전해액이 채워져 있지 않은 제품이다. 자동차에 쓰이는 방식은 건식이다. 국내 주요 배터리 메이커는 세방전지(글로벌), 한국전지(로얄), 델코, 현대에너셀(쏠라이트), 현대모비스 등으로 각 업체마다 다양한제품을 내놓고 있다.


 ▲관리요령
 자주 보닛을 열어 배터리를 살피는 습관이 중요하다. 오래된 차일수록 더욱 그렇다. 전해액 누수 여부와 케이블 연결을 확인한다. 배터리 단자에 녹이 슬었으면 깨끗이 닦아서 다시 연결한다. 단자가 오래 되면 녹이 슬어 접촉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충전상태를 표시해주는 창의 색깔을 확인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배터리는 전해액이 적당한 지 살핀다. 배터리 기본원리가 화학반응이고 반응속도는 온도에 민감하다. 온도가 낮아지면 반응이 느리고 올라가면 빨라진다. 때문에 겨울에는 배터리 성능이 떨어진다.


 ▲방전 때의 조치
 배터리가 방전됐을 때는 차를 밀어 시동을 걸 수 있다. 운전자는 키를 돌려 ON 상태에 놓고 변속기어를 2∼3단에 넣고 클러치를 밟는다. 차가 어느 정도의 탄력이 받았을 때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고 가속 페달을 밟아주면 된다. 그러나 이는 수동변속기차에만 가능하고 자동변속기차는 보험사나 근처 정비업소의 도움으로 점프 케이블을 연결, 시동을 걸어야 한다. 다른 차의 시동을 걸고 +·- 단자 확인을 잘한 뒤 같은 극끼리 연결해야 한다.


 ▲배터리와 관계없는 고장
 기온이 높은 날에는 주행중이나 정차중 갑자기 시동이 꺼질 수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운전자는 당황하기 마련이다. 이 같은 현상은 연료계통에서 열에 의한 증기로 통로가 막혀 연료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10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재시동을 걸면 된다. 또 디스트리뷰터가 이상이 있을 때는 재시동이 가능하지만 발전기에 문제가 있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발전기 이상일 경우는 정비업소로 가야 한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10-13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