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국제적 기술규정(GTR, Global technical regulations) 제정과 관련해 국내 업계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철환 건설교통부 자동차관리과 서기관은 2일 서울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2004 한국자동차부품발전전략 춘계세미나’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김 서기관의 발표주제는 ‘자동차 안전기준 국제협정 적용에 따른 대응과제’였다.
김 서기관은 소득증가, 인터넷을 통한 결함정보 공유 등으로 소비자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미국, 일본 등이 주도하고 있는 자동차 안전기준 국제화 추진 움직임에 한국도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교적 제정이 쉬운 15개 규정이 우선적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소개하고 이에 대한 업계의 대책을 주문했다. 등화장치, 제동주행장치, 충돌 및 충격보호장치, 일반안전 등이 그 것. 이 중 문열림 방지장치와 관련한 GTR이 오는 11월 논의될 예정이어서 관련 업계가 의견을 정리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상헌 산업자원부 수송기계산업과장은 ‘04년 자동차산업 정책 추진방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첨단 핵심기술 개발과 부품산업의 세계 기지화 등을 추진하고 세계 무역환경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33년간 토요타에 근무한 미즈코시 히로키 씨는 \'토요타 및 협력업체의 물류혁신사례’를 발표했다. 그는 특히 자동차부품조달 시스템 조절과 IT를 활용한 물류개선 등으로 양산개시까지 초단기 생산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영섭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이 날 인사말에서 “자동차산업은 국가 전체 무역흑자 155억달러보다 많은 196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자동차부품업계가 세계적인 자동차흐름에 대응하는 기술경쟁력을 확보,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여는 견인차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종훈 기자(ojh@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