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판매(주) (사장 李東虎)가 2001년 워크아웃 당시 구조조정 차원에서 도입한 영업사원에 대한 능력급제를 통해 지난해 1억 이상 고액 연봉자가 8명이나 배출된 것으로 나타나 화제.
또한, 현재 대우자판(주) 사장의 연봉은 약 1억 3천만원 정도인 것과 비교해. 사장보다도 연봉을 많이 받는 영업사원이 지난해 4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자판(주)가 국내 자동차 업체 가운데 최대의 억대연봉 영업사원을 배출하게 된 비결은 바로 능력급제 때문. 대우자판(주)가 능력급제를 도입한 것은 2001년 당시 대우자동차의 부도여파로 대우자판(주)에 대한 워크아웃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단순한 경비절감보다는 효율적인 영업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GM대우차 출범이후 영업환경이 개선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차원에서 능력급제를 도입한 것.
능력급제는 자동차업계 영업사원의 급여가운데 기본급과 능력급의 비중이 7:3이었으나, 이를 4:6으로 개편해 영업사원의 고효율을 유도하는 임금 시스템으로 대우자판(주)가 업계최초로 전면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대우자판(주)의 영업사원 954명 중 억대 연봉자를 포함해 5천만원이상 고액연봉을 받는 영업사원은 전체의 약 17% 정도가 넘는 166명에 달한다. 이는 능력급제 도입전보다 무려 140명이 증가한 것으로서 능력급제 도입으로 회사는 매출이 크게 신장되는 한편, 영업사원은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 있어 능력급제가 회사와 직원이 모두 WIN-WIN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것이 입증된 셈이다.
전체 영업사원의 평균 판매효율도 능력급제 도입전인 2001년에는 2.4대에 불과하였으나, 지난해는 약 3대로 30%정도 크게 늘어났다.
지난해 대우자판(주) 전체 영업사원 중 181대를 팔아 최고의 판매대수를 기록해 최고의 연봉을 받은 박노진 이사(서울 동대문지점 근무)는 "지난해 경기침체 영향으로 200대를 넘기지 못했지만, 올해는 판매목표 300대를 달성하여 3억이상 연봉을 받아 이동호(李東虎, 대우자판) 사장이 타는 차보다 더 좋은 체어맨리무진을 타는 것이 올해 목표"라고 밝혔다.
대우자판(주)의 영업총괄 하관봉 전무는 "능력급제를 통한 영업효율 향상으로 앞으로는 전체 영업사원의 5% 이상이 1억 이상 고액연봉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올해 목표"라고 밝혔다.
대우자판(주)는 이를 위해 지난해 도입한 '일할 맛 나는 회사 만들기' (GWP. Great Work Place) 프로젝트 2단계를 추진하는 한편, 자동차 판매회사의 특성상 가장 중요한 영업을 효율화하기 위해 모바일 고객관리시스템(DCMS) 등 영업 지식 시스템 구축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