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유가격 인상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에너지 세제개편의 대안으로 휘발유값 인하가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자동차업계와 정유업계는 정부가 휘발유와 경유 가격비를 100:85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경유값을 인상하기보다는 휘발유값을 내리는 게 낫다는 의견을 최근 공청회에서 제시했다. 이에 대해 재정경제부 권혁세 심의관은 "휘발유 가격 인하는 에너지절약이라는 국가적 과제 수행과 지나친 에너지 소비에 따른 환경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다"며 "따라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대했다.
휘발유값 인하는 특히 자동차업계가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는 정부의 경유가격 인상 방침에 대해 경유차 판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데다 휘발유차 증가로 각국이 앞다퉈 감축중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재경부는 에너지 세제개편이 특정업계의 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져선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 일각에선 정부가 세수를 늘리기 위해 경유값만 인상한다고 반발하고 있으나 경유값 인상이 결코 세수를 거둬들이기 위한 단편적인 조치는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다. 즉 경유승용차 도입에 따라 세제를 개편하는 것이지, 세수증대를 위한 조치가 아니라는 해명이다.
한편 정부는 조세연구원이 내놓은 유종별 가격비 100(휘발유):85(경유):50(LPG)을 존중키로 하고, 경유값 인상에 따른 화물업계 등에는 보조금 지급 등의 별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