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4 분기 주요 완성차업체들의 판매성적표를 보면 아우디, 르노, 현대, 기아 등의 판매가 증가한 반면 폭스바겐과 벤츠, 피아트, MG로버 등은 계속 하강세를 보였다. 특히 크라이슬러의 재도약이 눈여겨 볼 만하다. 다음은 독일자동차산업협회가 분석한 올 3·4분기 자동차메이커들의 성적표다.
▲폭스바겐·아우디
폭스바겐은 올 3·4분기 매출액이 감소함으로써 계속 부진을 보이고 있다. 독일 내수시장 및 미국시장에서의 판매저조와 유로화 강세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회사는 올 9월까지 4,700만유로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동기 대비 3억8,800만유로가 증가한 것이다. 특히 상용차부문에서의 적자액은 전년동기 대비 700만유로 늘어난 1억5,900만유로였다. 반면 그룹 내 아우디와 금융 서비스부문은 각각 8억7,700만유로와 7억6,800만유로의 판매실적을 올렸다.
폭스바겐의 지난 9월까지의 총 판매대수는 370만대다. 독일 내에서의 판매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2.8%, 북미시장에서는 10% 감소했다. 중국시장에서는 5.4% 줄었으나 시장점유율에서는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다. 반면 남미와 남아프리카에서는 판매가 25%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임러크라이슬러
메르세데스그룹의 이익손실에도 불구하고 다임러크라이슬러는 올 3·4분기에 판매호조를 보였다. 다임러크라이슬러의 3·4분기 경상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7% 증가한 10억3,000만유로였다. 매출액은 3% 증가한 1,040억유로를 기록했다. 메르세데스는 새 모델 출시와 차의 질적 개선을 위해 무리하게 투자한 결과 전년동기 대비 62%에도 못미치는 3억400만유로의 경상이익에 만족해야 했다(전년동기 경상이익은 7억9,300만유로). 총 판매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약 1만7,000대 적은 25만6,600대였다. 독일 내에서의 올 3·4분기 매출은 13%, 미국시장에서는 12% 뒷걸음쳤다.
한편, 지금까지 다임러크라이슬러그룹의 애물단지로만 취급받던 크라이슬러가 상승곡선을 타고 있어 주목된다. 크라이슬러의 올 3·4분기 경상이익은 1억4,700만유로에서 2억1,700만유로로 늘었다. 최근 9개월동안 약 10억유로의 이익을 올리고 있다(전년동기 경상이익은 6억5,000만유로). 총 판매실적은 전년동기보다 3% 증가한 65만1,900대였다.
▲피아트
피아트의 전년동기 이익손실은 3억1,400만유로였으나 전문가들의 예측과는 달리 올해 3·4분기의 이익손실이 2억7,000만 유로로 감소했다.
▲르노
르노의 올 3·4분기 판매실적은 증가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한 90억4,900만유로를 기록했다. 르노의 이 같은 판매호조의 원인은 유럽 외 지역에서의 판매비중을 높인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MG로버
MG로버는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작년 한 해에만 1억1,000만유로의 적자를 냈으며 2002년에는 9,500만유로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특히 계속적인 판매저조로 이러한 적자를 줄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기아
현대의 올 3·4분기 판매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50%나 증가하면서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500억원이나 늘었으며 매출은 29.6% 신장한 약 6조5,000억원(3억1,250만 유로)의 실적을 보였다. 현대의 승승장구는 해외에서의 급격한 수요증가로 판매를 늘릴 수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9개월동안의 수출실적은 15% 증가한 79만4,000대였다. 유럽에서의 판매실적은 26%증가한 24만1,000대였으며 내수판매는 40만5,000대로 오히려 전년동기 대비 16.4% 감소했다.
기아는 매출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기록했다. 원달러환율의 하락과 영업비 증가 등의 원인으로 기아의 당기순이익은 2% 감소한 85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매출액은 약 30% 증가한 3조4000억원이었다. 올 9월까지의 내수판매실적은 약 23.8% 줄어든 18만7,000대였다. 같은 기간동안의 수출은 15.5% 늘어난 70만3,000대였다.
강호영 기자 ssyang@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