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자동차업계가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 대한 정부 지원이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는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1일 제2차 국가에너지자문회의에 앞서 청와대에서 국내 메이커가 개발한 수소연료전지차 시승식을 가진 데 대해 대통령이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크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협회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향후 미래형 자동차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한층 커지기를 희망한다고 15일 밝혔다.
협회는 또 하이브리드카와 연료전지차 등 미래형 자동차의 핵심 기술 확보 여부가 향후 국내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가름하는 핵심 요소라고 판단,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가 연두 업무보고에서 밝힌 연료전지차 기술인력 양성과 수소연료시대에 대응한 마스터플랜 수립 등 미래형 자동차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지원정책에 대해 매우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2003년 차세대성장동력산업으로 미래형 자동차를 선정하고, 지난해 10월에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 및 보급촉진을 위해 \'환경친화적자동차개발및보급촉진에관한법률\'을 제정하는 등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촉진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규모는 60억원에 불과했다고 협회는 밝혔다. 연간 수천억원에 이르는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의 미래형 자동차 개발지원 예산규모를 감안할 때 국내도 정부 지원이 매년 최소 1,000억원씩 향후 10년간 1조원 규모의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협회는 강조했다.
협회는 독일 슈레더 총리와 일본의 고이즈미 총리가 2001년과 2002년 연료전지차를 시승했고,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2003년 연두교서에서 연료전지차 보급계획을 직접 발표하는 등 자동차 선진국의 행정수반들이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는 점을 들며 노 대통령의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실질적인 정부 차원의 지원책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산자부는 올해 업무보고를 통해 연료전지차 개발 등 수소경제기반을 구축키 위한 수소경제시대 대응 종합마스터플랜을 올 상반기중 수립키로 했다. 과기부도 미래형 자동차 등 첨단 산업분야 현장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시범개설 운영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