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의 성능 및 상태를 점검한 뒤 1,000여개 점검부위별로 코드화하고 소비자에게 법으로 정해진 내용 외에 중고차 상태의 세부 내용까지 알려주는 전산 시스템이 등장했다.
중고차 성능상태 점검기관인 교통안전공단(이사장 박남훈)은 ‘중고차 성능상태 점검 시스템 시연회’를 최근 서울 성산자동차검사소에서 열었다. 이 행사에는 박남훈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오재춘 건설교통부 자동차관리과 사무관, 도재영 진단보증협회 회장, 김필수 한국중고차문화포럼 위원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공단의 시스템은 ▲접수단계에서 자동차관리망 등을 통해 과거 성능점검받은 사실 자동 조회 ▲검사시설을 이용한 사이드슬립, 브레이크, 속도계, 전조등, 배출가스 점검 ▲보험개발원의 자동차보험 사고이력 조회 ▲이동용 타블렛 PC 입력과 자기진단사항 전산처리 ▲성능 및 상태점검기록부 출력 등의 과정으로 구성돼 있다.
공단은 이 과정에서 밝혀진 각 부품의 탈부착, 도색, 교환 등을 1,000여개 코드로 전산 관리해 차종별, 연식별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한 뒤 정부 정책자료로 제공한다. 또 소비자의 알권리를 위해 법으로 정해진 기록부 외에 세부 정보내용을 따로 발급한다.
공단은 이 밖에 보험사와 함께 점검받은 중고차에 대한 품질보증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로써 해당 중고차를 구입한 소비자는 기록부 내용과 실제 차 상태가 다를 때 공단측에 확인을 의뢰, 과실 유무 확인 및 확인증빙을 발급받아 정비업체에 수리를 맡기면 된다. 정비업체는 보험사를 통해 보험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차를 수리해 고객에게 돌려준다. 수리비 10만원 미만의 소액사고는 공단이 자체보상을 하고, 10만원 이상은 보험사가 처리한다.
윤용안 공단 중고차 성능상태점검 TFT팀 차장은 “전국 51개 자동차검사소에 이 시스템을 구축했고 성능점검책임자 및 분쟁조정 등 관리자 138명을 양성한 상태”라며 “공단은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대국민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건 물론 성능 및 상태점검분야에서 차별화된 사업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기성 기자 gistar@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