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산 최초의 하이브리드카로 판매될 현대자동차 베르나 후속차종 MC 하이브리드의 가격이 3,800만원대로 결정됐다. 그러나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 상용화에 상당한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는 오는 10월중 출시할 MC 하이브리드카를 9월말부터 생산에 들어가기로 했다. 현대는 올해 안에 350대를 만들어 정부에 시범공급할 계획이다. 현대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경우 값비싼 수입부품을 많이 사용해 차값을 3,800만원 가량으로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하이브리드카를 구입하는 중앙정부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당 2,800만원의 구입 보조금을 지급키로 했다.
환경부 교통환경기획과 관계자는 "올해 정부 차원에서 350대를 구입하되 대당 보조금을 2,800만원씩 지원할 것"이라며 "현재 지자체로부터 250대 가량의 구입예약을 받았다"고 말했다.
현대가 시범공급할 하이브리드카는 1,400cc급으로 EBD-ABS, 후방 경보장치, 무선도어 잠금장치 및 도난방지장치 등의 편의성을 갖췄다. 현대는 우선 정부 내 시범공급을 계기로 국내 하이브리드카시장의 동향을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3,800만원의 가격은 일반 소비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지자체의 경우 환경부의 보조금 2,800만원을 제하면 1,000만원으로 구입이 가능한 셈이지만 일반인에게까지 환경부가 보조금을 주기는 어렵기 때문.
환경부 관계자는 "시범공급이 아닌, 소비자용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는 건 국제적으로도 문제가 된다"며 "소비자 판매용 차는 세제혜택을 통해 보급을 늘려 나가는 방법을 강구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세제혜택을 준다 해도 자동차회사의 보급확산 의지가 없으면 하이브리드카는 국내에서 인기를 얻지 못할 것"이라며 "현대·기아의 경우 거대 기업으로 이익이 많이 나는 만큼 대기환경 개선 차원에서라도 하이브리드카의 가격을 최대한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대·기아는 당장 차값을 낮추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현대·기아는 MC 하이브리드카의 경우 제값을 받으려면 3,800만원도 부족하다는 주장을 펴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내년부터 일반에 보급될 하이브리드카의 소비자 판매가격을 두고 환경부와 현대·기아의 조율이 필요한 실정.
업계는 하이브리드카가 연료효율이 아무리 좋다 해도 디젤승용차나 휘발유차에 비해 가격이 지나치게 비쌀 경우 구입할 사람이 없을 것이란 점에서 하이브리드카의 가격이 휘발유차 대비 300만원 정도 비싼 걸 적정수준으로 보고 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