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윤성규)은 자동차공해분야에 있어 공동연구, 정보교환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유럽연합 공동연구센터(JRC)의 만프레드 그라서바우어(Manfred Grasserbauer)소장과 2005. 10. 27일 동 과학원에서 체결했다
※ JRC( Joint Research Center )
□ 유럽연합 공동연구센터 측에서 금년 7월 동 센터를 방문한 우리측 대표단에 먼저 양해각서 체결을 제의해 오고 우리측에서 이를 받아들여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 동 센터측에서 먼저 양해각서 체결을 제의하게 된 배경으로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위상, 미국․유럽 등과 견주어 손색없을 정도로 엄격한 우리의 자동차공해규제 수준, 국립환경과학원의 자동차공해분야 역량 등을 높이 평가한 데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 이번에 체결된 MOU는 양기관이 자동차공해분야의 중복연구를 피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을 두어 다음과 같이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승용차, 이륜차, 화물차 등의 배출가스 시험방법을 공동개발하고 차세대자동차, 엔진 및 연료에 대한 공동연구 추진
○ 자동차공해 관련 실험실 현대화 및 연구소간 상관성 시험 결과 비교
○ 저공해자동차 개발, 배출허용기준 설정, 연구성과 및 연구동향에 대한 정보 공유
□ JRC는 자동차공해 및 환경오염 방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기술개발을 관장하며 연구인력 5000여 명과 연간 예산 2억5천만EURO(3,250억원)에 달하는 유럽연합 산하의 대단위 연구기관으로서
○ 유럽연합의 자동차 배출가스허용기준인 EURO-Ⅲ,Ⅳ,Ⅴ 등의 기준안 제시, 오염물질 배출계수 및 배출가스 측정방법 개발 등을 선도하는 유럽연합의 자동차공해분야 Think-Tank이며
○ 미국의 NVFEL(국립자동차공해연료연구소), 중국의 VECC(자동차공해방지연구소), 일본의 NTSEL(국립자동차안전환경연구소) 등 세계유수의 자동차공해연구기관들과도 똑같은 내용의 양해각서를 이미 체결하여 공동협력체게를 구축해 놓고 있는 권위있는 연구기관이다.
□ JRC와 MOU체결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역량은 유럽, 미국, 중국, 일본의 대표적 연구기관들과 어깨를 같이하는 수준이라는 점이 국제적 으로 공인받게 되었다고 국립환경과학원측은 풀이했다.
□ JRC에서는 경유자동차의 입자상물질(PM)을 무게기준으로 측정하던 기존 방법에서 입경별 입자수로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개발하고자 상관성 비교시험(Round robin test)을 독, 영, 불, 일 등 9개국을 대상으로 수행 중에 있는데
○ 금번에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도 참가하여 함께 수행하고 있어 국제적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굳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 Round robin test는 JRC주관으로 기존 무게단위의 경유자동차 입자상물질 측정을 보다 세분화된 입자크기, 입자수까지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안을 마련하여 국가간 상호 비교, 측정을 통해 새로운 방법의 정확도, 재현성 등을 평가하는 순회비교 측정임
※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에서 JRC 소유 Golden Car를 ‘05.10.17일 넘겨 받아 10.24일부터 11.4일까지 Round robin test를 수행중이며 JRC요원 3명이 내한하여 참관하고 있음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