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 서비스 공급 업체인 보쉬가 웹 기반 서비스를 위한 자체 클라우드를 출시했다. 보쉬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를 통해 커넥티드 모빌리티, 커넥티드 산업 및 커넥티드 빌딩 사업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보쉬의 첫 클라우드는 독일에 위치해 있다.
보쉬그룹 폴크마 덴너 회장은 최근 베를린에서 개최된 보쉬 커넥티드월드 컨퍼런스에서 “이제 보쉬는 커넥티드 세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요소들을 단일 소스에서 제공하게 되었다”며 “보쉬 IoT 클라우드는 보쉬의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완성해주는 마지막 퍼즐 조각이다. 보쉬는 연결성 및 사물 인터넷에 있어 완전한 서비스 제공 업체”라고 말했다. 보쉬는 사물 인터넷 전반에서 활동하며 센서, 소프트웨어 등 연결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주요 기술을 제공하고 또한 이 기반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보쉬그룹 경영 위원회에서 연구 및 선진 엔지니어링 역시 총괄하고 있는 보쉬그룹 덴너 회장은 “커넥티드 솔루션의 성공에 있어 주요 요소는 확장성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 시 빨리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보쉬 IoT 클라우드를 통해 보쉬는 관련 인프라를 갖추게 되었다. 이는 보쉬에게 주요 이정표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쉬 IoT 클라우드는 기술적인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쉬는 우선 보쉬 IoT 클라우드를 내부 솔루션용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2017년부터 다른 기업들에게 서비스 형태로 출시된다.
보쉬는 IoT 클라우드를 슈투트가르트 인근에 위치한 자체 컴퓨팅 센터에서 가동한다. 덴너 회장은 “고객들은 그들의 데이터가 보호되고 안전한지 알고 싶어한다”며 “이런 이유로 보쉬가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보안은 최첨단”이라고 말했다. 보안과 관련해서는 독일 및 유럽 데이터 보안 규정이 적용된다.
보쉬 IoT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핵심은 보쉬의 IoT 스위트이다. IoT 스위트는 웹 기반의 모든 기기를 인식하고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며 다수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들을 실현 가능하게 해준다. 빅 데이터 관리는 방대한 데이터의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보쉬 IoT 스위트에는 기기의 마모 현황에 대한 보고 시기나 기기 서비스를 위한 사전 조치 등 자동화된 결정을 위한 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보쉬와 고객들은 이미 해당 플랫폼에 기반한 다수의 솔루션 및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보쉬 IoT 클라우드는 현재 5백만 대 이상의 기기 및 기계들을 연결해주고 있다.
보쉬는 커넥티드 세상을 위한 다수의 제품 및 솔루션들을 출시했다. 예를 들어, 보쉬 스마트 홈 시스템은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자택의 현재 온도를 알려주어 외부에서 온도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보쉬 IoT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또 하나의 솔루션은 난방 서비스 전문 기술자를 위해 디자인 되었다. 고장 시 전문 기술자는 원격 접속을 통해 보쉬의 공인된 난방 시스템에 접근하여 고장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기술자가 수리에 필요한 교체 부품을 미리 준비하여 한번의 방문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객들은 더 낮은 서비스 비용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보쉬 IoT 클라우드를 통해 아스파라거스 재배지에서 수집한 센서 데이터도 활용될 수 있다. 농장 관리인은 토지의 정확한 온도를 파악하면 수확량 및 수익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보쉬 IoT 클라우드는 슈투트가르트의 통근 열차 노선 주변 환승 주차장들의 사용 가능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지도로 생성할 수 있다. 센서들이 미사용 주차 공간들을 감지하여 정보를 클라우드에 전송하면 정보가 실시간 지도에 추가되어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 가능한 공간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화물차 운전자들을 위한 주차 예약 서비스 또한 가능하다. 화물차 운전자들이 휴식을 위한 주차 공간을 찾는 경우, 화물차가 차량 위치 데이터를 보쉬 IoT 클라우드에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송 받은 클라우드는 인근 사용 가능한 주차 공간을 예약한 후 운전자에게 통지해준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