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승기

작은 심장의 유혹, 볼보 뉴 S60 D2


볼보자동차는 뛰어난 연료 효율을 위한 목적으로 V40에 이어 S80, S60, V60 등 자사의 중형 라인업에도 1.6리터 디젤 엔진과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탑재한 D2 모델을 추가하고 지난달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새로운 파워트레인과 기존 차체의 조합이 어떤 성능과 효율을 만들어낼지 확인하고자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S60 D2 모델과 함께 달렸다.

글 / 이진혁 기자 (메가오토 컨텐츠팀)
사진 / 박환용 기자 (메가오토 컨텐츠팀)
편집 / 김정균 팀장 (메가오토 컨텐츠팀)


지난해 부분변경을 거친 현행 S60의 외관 디자인은 젊고 스포티하다. 넓어진 전면 그릴과 범퍼, LED 주간주행등, 듀얼에서 싱글 타입으로 변한 헤드램프 등이 단정하면서도 역동적인 인상을 보인다. 특히 제논 헤드램프는 스티어링 방향과 설정에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액티브 밴딩 라이트 기능이 돋보인다. 이 밖에도 포인트를 강조하는 곳곳의 크롬 장식과 LED 리어램프 등이 S60의 세련된 실루엣을 완성한다.


실내 인테리어는 기존 모델보다 한층 젊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기본 장착된 어댑티브 디지털 디스플레이 계기판은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퍼포먼스, 엘레강스, 에코 등의 세 가지 모드로 변경 가능하며, 운전자에게 필요한 각종 운행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시승차의 경우 우드를 대신하는 알루미늄 소재가 적용된 센터페시아의 질감이 무척 훌륭하다. S60 D2 모델에서 주목할 부분은 합리적인 가격과 효율성을 내세움에도 불구하고 천연가죽 메모리시트, 내비게이션과 후방카메라, 블루투스 핸즈프리 및 오디오 스트리밍, 듀얼존 에어컨, 크루즈 컨트롤, 패들시프트, 버튼시동 스마트키 시스템, 엔진 스타트/스톱 시스템, 선루프, 뒷좌석 6:4 폴딩시트 등의 다양한 장비들이 빠짐없이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다음은 S60 D2의 성능과 효율성을 검증해볼 차례. D2 엔진은 기존 5기통 방식에서 4기통으로 실린더가 하나 줄어들고 배기량도 1.6리터로 낮아졌지만, 동일 배기량 수입차 중 가장 높은 최고출력 115마력, 최대토크는 27.5kg.m를 발휘하며 1,580kg의 차체를 무리 없이 이끌어간다. 아울러 듀얼클러치 방식의 6단 자동변속기가 결합되어 변속 지연시간을 단축하고 동력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에 따라 17.2km/h의 우수한 복합연비를 자랑한다.


스펙만 보고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가속력은 예상보다 준수한 편이다. 통쾌하진 않아도 뚝심이 있고, 날카롭게 치고나가는 맛은 부족하지만 지구력 넘치는 디젤 엔진 특유의 듬직함을 보인다. 주행 중 재가속이나 추월 상황에서도 비슷한 상황을 연출한다. 하지만 성미 급한 운전자라면 순간순간의 출력이 부족하게 느껴질 것은 분명하다.


스티어링 감각과 서스펜션의 움직임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만족스럽다. 주행 중 노면충격을 잘 걸러내 안락한 승차감을 선사하면서도 코너에서 무게중심을 제대로 제어하며 출렁거림 없이 차체를 바로잡는 실력은 편안함과 안정감 모두를 충족시킨다. 다만 평균치보다 높은 차고와 부드러운 서스펜션 세팅이 무리한 주행에서는 발목을 잡을 수도 있으나, 섀시가 출력을 이기고 있기 때문에 차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고 달린다면 문제될 것은 없다.


제동성능은 우수한 편이다. 객관적으로나 감성적으로 불만스러운 요소를 발견하지 못했다. 레이싱 브레이크처럼 날카로운 제동력은 아니지만, 묵직하고 꾸준한 감각으로 탑승자 모두가 불안하지 않은 감속과 제동이 가능하다. 굳이 단점을 꼽자면 급격한 브레이킹으로 완전히 정지할 경우 앞뒤로 흔들리는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것 정도다.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약 200km 주행하며 얻은 평균연비는 17.4km/L로 공인 복합연비 17.2km/L를 약간 웃도는 수준. 극심한 정체구간과 고속주행이 포함되었다는 걸 감안하면 굉장히 만족스러운 수치다. 굳이 연비주행을 신경 쓰지 않아도 복합연비 정도는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엔진 스타트/스톱 기능도 훌륭한 연비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


S60 D2 모델은 일반적인 세단들과 달리 성격이 분명하다. 시원스런 가속력이나 스포티한 운동성능은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 하지만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세련된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실내 공간, 다양한 편의장비, 시티 세이프티 등 볼보다운 수준급의 안전성, 여기에 막강한 연료 효율성이 더해져 뚜렷한 상품성을 지녔다. 게다가 4천만원 초반대의 가격은 이 차의 가치를 더욱 끌어올린다. 결국 볼보는 더 작은 심장인 D2 엔진을 얹으며 계획했던 모든 목적을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