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추석연휴 교통사고 예방 및 처리요령


손해보험사들이 바빠졌다. 고객들에게 손보사의 존재이유를 알릴 수 있는 명절연휴가 다가와서다.

손보사들은 올 추석연휴(9월10일~14일)에도 어김없이 24시간 사고보상과 긴급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했다. 보상직원 비상대기, 사고접수 및 사고처리요령 안내 등 보상서비스도 강화했다. 그러나 서비스가 아무리 좋더라도 사후처리에 불과하다. 최선책은 교통사고나 차 고장없이 안전하게 연휴를 보내는 것. 안전한 귀향·귀성길을 위한 준비사항과 사고처리절차를 소개한다.

■사고·고장 예방
 고향가는 길은 정체가 심하므로 출발 전 차 상태를 충분히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 타이어, 브레이크, 엔진오일 등을 살피고, 고속도로를 운행할 차는 정체에 대비해 연료를 충분히 채워야 한다. 명절 연례행사인 교통지체와 정체로 운전자의 피로도도 매우 높아 사고위험이 커진다. 안전운전은 필수.

 고속도로 등 과속지역에서 야간에 사고가 나면 시야불량으로 제2, 3의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사고처리 및 예방을 위해 비상표지판을 챙겨둬야 하는 이유다. 사고가 나면 비상표지판을 설치한 뒤 가드레일 밖 안전지대로 대피해야 한다. 또 명절에는 가족 등 승차인원이 많아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커진다. 어린이는 뒷좌석에 태우고 안전띠를 반드시 착용시켜야 한다.

■ 사고발생 시 행동요령
 사고가 나면 즉시 멈추고 사고현장을 보존한다. 주위 사람의 협력을 받아 △손해상황 및 차 위치 표시(카메라 촬영 등) △승객 또는 목격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확인 △상대방 운전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운전면허번호, 차량등록번호 확인 등의 조치를 취한다. 부상자는 즉시 인근병원으로 후송하고 부상이 가볍더라도 반드시 경찰에 신고한다. 부상자 구호조치나 경찰서 인사사고 신고를 하지 않으면 뺑소니로 처벌받을 수 있다. 보험사는 경찰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보상해주므로 보험사로부터 받을 불이익은 없다.

 교통사고가 나면 책임소재를 놓고 다툴 필요없이 보험사에 사고처리를 위임한다. 자신의 과실만 인정하거나 면허증, 검사증 등을 상대방에게 건네주는 건 금물. 사고 시 상대방의 책임을 면제 또는 경감해주는 증서를 작성하거나 약속한 경우 보험사의 보상책임이 없는 손해는 운전자 자신이 부담하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가·피해자의 과실비율은 당사자가 아니라 보험사가 산정한다. 가·피해자 간 책임소재를 두고 다툴 필요없이 보험사에 사고처리를 위임하는 게 바람직하다.

 가벼운 접촉사고는 가입 보험사에 연락해 사고발생 사실을 신고한 뒤 보험처리와 자비처리 중 유리한 걸 묻는 등 조언을 구한다. 보험사 연락이 어려우면 사고현장에서 불필요한 다툼을 벌이지 말고 사고장소, 사고내용, 운전자 및 목격자 인적사항 등을 서로 확인한 뒤 돌아가서 보험사에 연락한다. 작은 인명피해가 났으나 보험사와 연락이 힘들어 피해자 응급처치비용을 우선 지불했다면 치료비 영수증과 진단서 등을 발급받는다. 연휴가 끝난 뒤 가입 보험사에 영수증 등을 제출하면 보험사의 심사를 거쳐 치료비 등이 지급된다.

■ 차 견인 시 유의사항
견인은 필요할 때만 이용할 것. 무조건적인 견인은 나중에 금전적 손해를 불러 온다. 견인 시에는 견인장소, 거리, 비용(건설교통부 신고요금 확인) 등을 정확히 정한다. 견인차 회사명, 차번호, 연락처 등도 알아둔다. 승용차의 견인요금은 10㎞에 5만1,600원, 구난비용(1시간 기준)은 3만1,100원이고 사고장소나 기후에 따라 30% 정도 할증될 수 있다. 보험사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견인보상금액은 사고지역 인근 정비공장까지의 견인비이다. 자동차보험 가입 시 긴급출동서비스특약을 선택했다면 보험사로부터 긴급견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자동차 대여 시 알아둘 점
 렌터카업체가 등록업체인 지 확인한다. 등록된 렌터카는 차번호가 '허'로 시작되고 자동차보험 중 대인·대물배상에 의무 가입돼 있다. 일부 렌터카업체는 일반 자가용을 10~20% 낮은 가격에 불법으로 대여한다. 싼 맛에 이런 차를 쓰다 사고가 나면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다.

<손해보험사 사고보상 및 긴급출동 서비스 연락처>
회사명 24시간 사고보상 및 긴급출동
센터명 전화번호
동양화재 알라딘서비스 1566-7711
신동아화재 CRM 콜센터 1566-8000
대한화재 사고처리센터 080-778-8572, 02-778-8572
해피카서비스 080-203-7282, 02-403-2146
그린화재 에이스카서비스 1588-5959
쌍용화재 마이카서비스 1688-1688
제일화재 OK서비스 1566-8282
삼성화재 애니카서비스 1588-5114
현대해상 하이카서비스 1588-5656
LG화재 매직카서비스 1544-0114
동부화재 프로미SOS서비스 1588-0100
교보자보 고객서비스센터 1566-1566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3

0 / 300 자

sose** 2020-03-09 16:47 | 신고
감사합니다~~~ 안전운전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asoz*** 2019-12-14 22:18 | 신고
안전이 최고죠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acoz*** 2019-12-12 15:27 | 신고
무엇보다 안운안운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인기매거진

2025-05-04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