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자동차 스타일의 완성, 휠 디자인


자동차에 있어 휠은 엔진 출력을 지면에 전달하고 차량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 뿐 아니라 외관 디자인의 디테일을 극대화하며 차의 이미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디자인 기술이 발전하고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휠 디자인 역시 더욱 화려해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많은 제조사들이 평평하고 밋밋한 디자인의 휠을 사용했다. 이는 기능성에 충실한 가장 기본적 형태로 휠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해 차량의 연비하락을 막는다. 제조사들은 스포크 형상에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밋밋한 형상의 단점을 커버했으며,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런 타입의 휠을 사용했다. 현재는 대중적인 차량이나 전기차, 하이브리드카 등 연료 효율을 중요시하는 차량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휠에 대한 디자인이 강조되면서 단조로운 형태를 탈피해 입체감을 주기 시작했는데, 주로 성능이 중요시되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많이 사용했다. 초반에는 림을 깊게 형성하고 스포크에 볼륨감을 준 디자인이 인기를 끌었으나, 차츰 스포크가 안으로 깊게 굽어져 역동성을 강조한 디자인이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또한, 발란스를 잡아주는 납이 달려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휠의 크기가 작아 보였던 플랜지 타입 대신 시각적으로 커보이는 노플랜지 타입의 휠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휠의 형상뿐만 아니라 질감과 재료, 색상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휠 디자인을 표현하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같은 국내 자동차 제조사도 이 부분에서 높은 완성도의 휠을 선보이고 있으며, 특히 기아차의 경우 감각적인 스포크 디자인과 색상을 결합해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으며 휠 디자인 트랜드를 리드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자동차 휠은 범퍼, 램프, 그릴 등과 함께 차량의 개성을 구분 짓는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앞으로는 친환경 소재와 공법 개발을 통해 기능은 물론 환경적인 요소도 휠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다양한 소재 사용으로 디테일을 강조하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키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강현구 기자 (메가오토 컨텐츠팀)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매거진

2025-04-27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