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10.1] 현대자동차(대표:鄭夢九회장)는 10월 1일부터 12일까지 부산 전시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2003 부산국제모터쇼’에 국내 최초의 투스카니 하드탑 컨버터블 등 양산차 20대를 전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부산모터쇼에 참가하는 현대자동차는 승용관2,000㎡(606평), 상용관700㎡(212평)으로 총 2,700㎡(818평)의 전시관을 운영한다.
승용관에는 유럽연구소에서 개발한 국내최초의 하드탑 컨버터블인 투스카니 컨버터블(CCS : Coupe Convertible Sliding roof)과 소형 SUV인 OLV(Outdoor Lifestyle Vehicle)등의 컨셉카 2대가 전시된다.
양산차로는 여성고객을 대상으로 개발한 뉴 EF 쏘나타, 클릭 엘레강스 모델과 에쿠스 리무진, 뉴 그랜저XG, 뉴 아반떼XD, 뉴 베르나, 테라칸, 싼타페, 트라제XG, 라비타, 스타렉스 리무진 등 총 13대의 차량이 전시된다.
또한 튜닝카인 ▲싼타페 마운틴니어 ▲투스카니 에어로 ▲월드랠리에 참가한 베르나 랠리카(WRC참가차량) ▲저공해 친환경차량인 싼타페 수소연료전지시스템 ▲α-VVT엔진, D-VGT엔진 등이 전시된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 1997년부터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 준비해 왔던 텔레매틱스를 11월 일반인에게 공개하기 앞서 뉴 그랜저XG차량에 장착하여 모젠(MOZEN)이라는 브랜드명으로 부산국제모터쇼에 첫 선을 보였다.
상용관은 양산차 카운티 리무진, 에어로 퀸, 초저상CNG버스, 글로벌900 CNG버스, 카운티 베어샤시, 24톤 덤프, 6×2트랙터 등 총 7대가 전시되며, 전시차종 중 현대자동차의 친환경적 기업홍보를 위해 4대의 버스에 환경을 주제로 그래픽처리를 했다.
또한 ▲차선이탈시 경보음을 울리는 차선이탈경보장치 ▲공차, 배차, 화물정보 및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토 PC ▲엔진내부를 절개하여 구동원리를 실제 볼 수 있는 파워텍엔진과 OM904엔진 등 신기술 2종과 2대의 엔진이 전시된다.
한편 현대차는 개막행사로 4명의 패션모델과 함께 컨셉카 투스카니 컨버터블의 화려한 모습을 새롭게 선보이는 패션쇼 행사를 갖는 등 행사당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행사기간 동안 마야, 안치환, JK김동욱, 자전거탄풍경 등 유명 가수를 초청하여 현대자동차관을 찾는 고객들에게 차량의 첨단기술과 함께 즐거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의 불우아동 초청행사 및 파브 프로젝션, TV 증정 경품행사를 개최하여 보다 많은 관람객이 현대자동차관을 관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한편 현대차는 2001년도 첫 부산모터쇼에 이어 올해 참가로 지역밀착형 마케팅 강화 및 부산 영남지역 등 국내에서의 고객과 가까이 하는 기업으로서의 이미지제고로 2010년 글로벌 톱5 초석을 다지는 계기를 마련했다.
【승용차 전시관】
<컨셉카 2대>
○ 투스카니 컨버터블(CCS: Coupe Convertible Sliding roof)
투스카니 컨버터블은 현대차의 첫 번째 컨버터블 모델로 제3세대
리트랙터블 하드탑(Retractable Hardtop)을 적용, 기존에 존재해왔던 여러가지 컨버터블의 형태 중 그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브랜드 최초의 4인승 컨버터블이다.
쿠페(Coupe) 베이스의 All-round 컨버터블 컨셉을 보유한 CCS는 2.7 리터 V6엔진을 탑재하였고, 천장의 루프를 내리면 리어시트가 없어지며 대신 넓은 화물공간으로 전환되어 실내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큰 특징이다.
CCS는 한 대의 차가 쿠페, 타르가 톱, 컨버터블의 세가지 역할을 수행하
는 차량으로 차에 앉아서 버튼을 한번만 누르면 통유리로 된 거대한 사이즈의 글라스 루프가 뒷 창문으로 내려가게 되는 타르가 톱 기능,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타르가 톱과 뒷 유리가 트렁크 내부로 접혀 들어가 컨버터블이 되는 기능, 루프를 완전히 덮으면 완벽한 쿠페의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을 3가지의 복합적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고급의 럭셔리한 실내공간의 실현을 위해 내부 및 스티어링 휠
을 브라운 톤의 가죽으로 수작업 가공처리하였으며, 레카로 시트와 8웨이 메모리 시트를 적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고, 베커헤드유닛과 JBL스피커를 장착하여 고성능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CCS의 엔진은 167마력의 2.7ℓ V6 가솔린엔진을 장착하여 강력한 파워를 가능케 하였고, 18인치 경량 휠, 고성능 타이어는 스포츠 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도록 제작되었으며, 기존의 컨버터블, 로드스터 등의 차량에서는 상상조차도 할 수 없는 적재공간을 갖추고 있어서, 루프를 닫았을 때의 화물공간은 443 리터이며, 루프가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244리터의 화물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OLV (Outdoor Lifestyle Vehicle)
올해 1월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에 출품하여 세계적인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는 있는 OLV는 승용차, SUV, 픽업의 장점을 모두 컨셉카로 최고출력 200마력의 2.4 ℓ DOHC엔진을 장착한 북미 Y-세대를 타켓으로 개발된 소형 복합 SUV차량이다.
개성과 실용성을 강조한 OLV의 디자인은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3개의 글라스 루프와 B필라가 없는 좌우 개폐식의 독특한 도어구조를 갖추었으며,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확장되는 테일게이트는 컴펙트한 차체에서도 최대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메탈릭 소재가 돋보이는 미래지향적 실내 디자인은, 긁힘방지 처리된 방수 재질을 사용하여 실용성을 중시하는 OLV의 디자인 철학을 돋보이게 한다.
OLV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독특한 디자인 채택, 대형 범퍼와 고강성 차체, 프론트 및 사이드 에어백등 충실한 안전 사양을 적용했다.
< 개조차 3대 >
○ 싼타페 마운틴니어
싼타페 마운틴니어는 기존 싼타페의 이미지를 계승하여 근육질의 볼륨감과 역동적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였으며, 온로드(On-Road) 및 오프로드(Off-Road)에서도 잘 어울리는 올 라운드 가니쉬(All Round Garnish)를 적용하였고, 일체형 루프랙과 스포일러를 통하여 전체적인 안정감과 세련미를 강조한 싼타페 개조차량이다.
대형 메쉬 타입의 라디에이터 그릴, 18인치 알루미늄휠과 대형 타이어, 강인한 이미지의 듀얼 머플러를 적용하여 강인하면서도 스포티한 외관스타일로 개조하였고, 버티칼 타입의 헤드램프와 턴 시그널 기능이 적용된 아웃사이드 미러를 장착하여 첨단의 세련미와 안전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차량에 적용된 신기술인 최첨단 텔레매틱스는 위성시스템 및 CDMA망을 이용하여 도로, 교통정보와 운전상황을 제공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운행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Mobile Phone, E-Mail, 및 인터넷 검색 등 최첨단의 사무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지향적 모델이다.
○ 투스카니 에어로
투스카니 에어로는 스포츠카 수요층의 가장 큰 특징인 ‘개성의 표현’을 만족시켜 주고, 더욱 좋아진 공력수치 적용을 통해 운동성능을 증대시킨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투스카니 스페셜 버전’이다.
스피드와 하이 퍼포먼스에 대한 갈망과 열정이라는 컨셉을 기초로 하여 전면부는 전투기를 연상시키는 에어인테이크 홀, 고성능 스포츠 카에 걸맞는 낮게 깔린 강하고 심플한 후드라인, 강력한 엔진 쿨링 성능을 표현한 넓고 분명한 범퍼 홀을 적용하였으며, 후면부의 두개의 이그조스트 파이프와 측면부의 에어 아웃렛으로 개조하여, 정통 스포츠카가 지니는 시각적인 스피드감과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였다.
또한 투스카니 에어로에 적용된 사양으로는 6단 수동 트랜스미션과 듀얼 이그조스트 파이프 시스템을 장착하였고, 초경량 17인치 알로이 휠, 하만 베커社의 헤드 유닛과 CD 체인저, JBL 프리미엄 스피커, 우퍼, 외장 앰프 등을 장착하여 정통 고급 스포츠카로써 손색이 없도록 개발되었다
○ 베르나 랠리카
2000년 월드랠리 경기중 가장 혹독하기로 악명 높은 스웨덴 랠리에서 첫 데뷔전을 치룬 베르나 월드랠리카는 엔진배기량이2000cc로 양산차보다는 배기량이 500cc정도밖에 차이는 나지 않지만 터보를 장착한 4기통 16밸브 멀티포인트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출력을 300마력 (양산 최대 102마력)까지 향상시켰고, 최신의 인공지능을 가진 4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양산 베르나의 3대를 합친 파워를 갖추었다.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의 세계최대규모 실차 풍동시험 장비를 활용하여 프론트 범퍼, 보닛(Bonnet),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등 차체 부품은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전후방의 다운포스(Downforce)를 이상적으로 분배하는 전천후 주행능력을 가진 차량으로 개조되었다.
또한 외관디자인의 향상과 더불어 엔진룸 내 공기유동(Air Flow)의 최적화 설계도 가능하게 하여, 300마력이상의 고출력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효율적으로 냉각(Cooling)시켜 차량의 내구성을 및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 신기술 4종 >
○ 싼타페 FCEV
싼타페 FCEV는 싼타페 모델을 바탕으로 한 수소 연료전지차로 아폴로 우주선에 연료전지를 공급한 세계적인 연료전지 개발 전문 메이커 UTC FC(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Cells) 사와 함께 개발하였다.
싼타페 수소 연료전지차는 세계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연료전지를 사용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초고압 (350기압) 수소탱크를 장착하여 수소 1충진 주행거리를 100마일 이상으로 높였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차체로 차량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어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동등이상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Zero Emission (배기가스)을 만족하는 환경친화 차량이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피가 너무 커 실내 공간의 레이 아웃(lay-out) 을 변경해야 했던 기존 연료전지차와 달리 시판중인 싼타페의 실내와 화물공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재까지 발표된 세계 연료전지 자동차 중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싼타페 수소 연료전지차에 탑재된 연료전지 출력은 75kW급으로 시속 100km에 도달하는 시간이 18초, 최고속도는 시속 124km이며 한번 수소 1회 충전으로 160km이상을 달릴 수 있게 설계되어 있고, 연료탱크는 72리터 이며, 아이들(idle)상태에서 최고 출력에 도달하는 연료전지의 응답속도도 1초밖에 걸리지 않는 최고 수준의 연료전지차로, 물 이외에는 어떤 것도 나오지 않는 무공해 차량이다.
싼타페 연료전지차는 2001년 미국 LA에서 열린 미쉐린 비벤덤 대회에 참가하여 연료전지차 부문 성능 평가에서 GM, 도요타 등6개회사중 종합 우승을 차지한 바 있어 환경차량 부문에서 현대차의 기술력을 입증하였다.
현대자동차는 20세기 내연기관자동차의 역할에 비견되고 있는 연료전지자동차 개발 및 실용화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보급 경쟁이 본격화 되는 2010년에는 Global Top 5의 위상에 걸맞는 연료전지자동차 기술을 보유하게 될 것이다.
○ MOZEN(텔레매틱스) / 뉴 그랜저 XG 장착
(Motor, Mobile)+(Citizen, Zenith) 등의 복수적 의미를 지니는 첨단 텔레매틱스 모젠을 뉴 그랜저XG에 장착하여 11월 일반인 계약에 앞서 부산모터쇼에서 본격 공개했다.
모젠 단말기는 국내 최초로 TV, MP3, Radio 등의 AV기능과 이동전화 및 텔레매틱스 기능이 터치스크린으로 통합구현 되었으며 특히 운전 중에도 버튼 하나로 상담원과 연결되어 길안내, SOS, 날씨, 증권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SOS콜 접수통한 긴급구난 및 도난차량 추적 등 Safety 관련 서비스와 더불어 이메일, 일정, 전화번호부 등 유선 홈페이지 설정 정보들이 차량 단말기와 연동되는 유무선 연동 기능 등은 타사와 차별화되는 신개념 서비스이다. 또한 상담원의 안내를 비롯한 모든 서비스는 24시간 제공 된다.
현대자동차는 앞으로 모젠을 한국을 대표하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고품격 텔레매틱스 서비스 브랜드로 키워 나갈 예정이다.
○ α-VVT엔진
VVT(Variable Valve Timing) 밸브 타이밍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작동원리는 밸브 타이밍을 늦추어 엔진실린더 내부에 체적효율을 이루게 하여 출력 증가로 연결되게 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고 RPM 회전시의 출력을 더욱 증가시켜 주고 반대로 밸브 타이밍을 빠르게 하면 저속 회전시에도 안정된 엔진 회전과 토크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장착한 뉴 아반떼XD의 α-VVT 엔진은 기존 DOHC 엔진 대비 최대 출력 7마력, 최대 토크 0.2kg*m가 향상되었고 연비 또한 기존 대비 대폭 개선되었다.
이와 같이 VVT 시스템은 엔진의 출력/토크는 물론 연비까지 향상시켜 주는 최신의 시스템이다.
○ D-VGT엔진
기존의 커먼레일 터보차저엔진을 대폭적인 출력향상과 연비향상을 위해서 개발한 VGT커먼레일엔진은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저까지 전자제어하는 가장 진보된 방식의 최첨단 디젤엔진이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싼타페와 트라제XG 모델에만 적용되고 있는 이 엔진은 높은 출력을 모든 상황에서 적절하게 발휘하도록 개선된 첨단 엔진이며, 전자제어 고압연료 분사방식인 커먼레일 시스템과 흡입공기량을 전자 제어하는 VGT 시스템이 결합됨으로써 저속에서도 높은 가속력을 낼 수 있으며, 고속에서는 더욱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기존 디젤엔진의 단점인 매연은 더욱 감소시키면서 연비향상을 실현한 이상적인 디젤엔진이다.
【 상용차 전시관 】
2003 부산모터쇼 상용관의 전시 컨셉은 ‘인간, 자연 그리고 기술의 조화’로 환경친화, 인간중심, 선진기술 이미지 시현을 위한 전시공간을 마련했다.
현대자동차는 설립 초기부터 다양한 트럭과 버스를 생산/판매하여 국내 최대 상용차 메이커로서 국내 물류 및 운수산업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으며 이번 2003 부산모터쇼를 통해 창조적인 디자인과 최첨단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자동차와 다양한 신기술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 에어로 하이클래스
움직이는 사무공간의 최고급 의전용 차량으로 외형은 전체적으로 세련미가 넘치고 웅장하다. 앞 부분의 프런트 그릴 및 글래스 아이새도우에서 오는 당당함이 프론트 스포일러에 이르러서 산뜻하게 마무리 되었고, 뒷부분의 리어스포일러와 글래스 가니쉬의 절묘한 조화에서 풍겨나는 웅장함은 프리미업급 버스의 가치를 완성시켰다.
내장은 세련된 디자인의 최고급 매트와 격을 더해주는 운전석 우드 그레인이 적용된 인테리어, PDP, 홈시어터, 시트 백, TV모니터 등 최고급 인테리어 사양 적용으로 VIP의전용 버스에 걸맞는 격조 있는 분위기를 연출해 이동용 사무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했다. 또한 인체 공학적 시트와 커브길에서도 흔들림이 없는 전후륜 와이드 서스펜션 및 조향 시스템, 작은 진동까지 잡아주는 충격 흡수 시스템을 적용 운전중 피로감을 줄여주며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컨트롤로 깨끗한 공기를 유지 시켜 준다.
○ 카운티 리무진
최상의 품위를 위한 신개념 중형버스로 사무환경을 극대화한 의전용 차량으로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적용했다. 의전용 사무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카운티 리무진은 동급 중형버스 최초로 TV모니터를 적용했으며, 고성능 AV시스템, 컴퓨터, FAX 등의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장거리 여행시 필요한 간단한 음료수 및 음식을 넣을 수 있는 냉온장고 적용이 가능하다. 벽면은 최고급 풀트림으로 아늑한 응접실 분위기를 연출했으며 회전식 시트는 회의실, 편안한 대화공간, 이동 상담실 등 다양한 용도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동급 최강의 140마력 터보인터쿨러 엔진을 장착하여 고마력, 저연비, 저공해로 친환경차량으로 면모를 갖췄으며 ABS, 배기브레이크의 기본적용으로 품격에 맞는 안전성을 확보했다.
○ 초저상 CNG버스
초저상 천연가스 버스는 고객편의를 극대화 한 차세대 시내버스로 장애인과 노약자의 승,하차 편의를 위하여 출입구 및 실내 높이를 최대한 낮추고 출입구의 계단을 없애 승,하차시 신체적 부담을 덜어 주도록 설계되었으며 환경 친화형 교통수단으로 자연을 배경으로 한 외장 데코레이션은 환경친화 기업으로서의 현대자동차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특징으로는 차량의 높이를 80mm 추가 하향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닐링(KNEELING)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또한 휠체어 탑승편의를 위해 슬라이딩 램프, 휠체어 잠금장치와 LED 전광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 고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 글로벌 900 CNG
대형슈퍼 에어로시티와 동일한 외관으로 전장은 도심 혼잡로 운행성과 경제성에 유리한 단축을, 전폭은 대형버스와 동일한 넓이를 확보하여 승객 편의성을 최대한 실현했다. 글로벌 900 천연 가스버스는 영국 로이드사의 인증과 미국소방협회규격(NFPA52)을 만족하는 버스로서 대기오염 물질을 획기적으로 줄여 쾌적하고 안락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최첨단 완전 전자식 린번엔진을 탑재, 압축천연가스를 사용하며 공해 없는 240마력의 6기통 터보인터쿨러 엔진은 강력한 파워, 깨끗한 공기, 저연비를 실현했다.
가스충전구내 체크밸브는 가스의 역류를 막아주며 충전구가 열려 있을시 시동이 걸리지 않는 안전장치 적용, 연료탱크측의 밸브, 파이프의 편리한 상시 점검을 위해 플랩도어 모두 열리도록 설계, 플랩도어에 적용된 홀은 가스 누출시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임팩트바 설치로 측면 충돌시 연료탱크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동급 최대 용량인 694ℓ의 연료탱크로 충돌, 화재 등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안전하며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다.
○ 카운티 베어샤시
수출용도의 차량으로 단지 주행이 가능한 차량상태로 여기에 차체를 조립하여 완성차를 제작하는데 쓰인다.
수입업체는 베어샤시에 차체 제작업체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차량을 제작하고 있다.
주로 완성차 수입관세가 높은 국가중 차체 제작기술이 뛰어난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지역에 수출되고 있다.
○ 24톤 덤프트럭
고강도 내마모 강판을 사용한 반영구적 라운드 타입의 적재함은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다. 크롬도금 처리된 4단 텔레스코픽 호이스트 실린더와 신형 유압펌프로 구성된 초강력 덤핑 메커니즘은 작업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힘차고 뛰어난 내구성을 보장하며 구성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해 고장이 적으며 정비, 점검이 간편하다.
덤프 조작은 에어 작동으로 조작이 간편하며, 덤프 하강조작시 PTO스위치가 자동으로 OFF 되는 안전한 방식의 덤프조작레버, PTO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운행하여 유압펌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안전기능를 채택함으로써 유압기기의 수명이 한층 길어졌다.
또한 리어 쇽업쇼바는 샤시 리어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조정안정성을 보완하였고 리어 롱테이퍼 스프링은 중량 40kg의 저감효과와 승차감을 향상시켰으며 멀티 스프링 대비 내구력이 대폭 향상되었다.
○ 6×2 트랙터
경량화와 공차 주행시 리프팅 작동으로 구동 마찰을 감소시켜 뛰어난 연비성능 자랑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마찰감소로 내구성을 높였다.
확실한 구동 성능과 신속한 응답성을 보장하는 대용량 리프팅 실린더는 내구성이 탁월하여 실린더 용량 부족으로 인한 실린더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했다. 7∼8초의 리프팅 작동시간은 15∼20초인 경쟁사 공압식 리프팅 작동시간에 비해 월등한 작업 효율을 보장한다.
또한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플랫폼을 적용하였고 알루미늄 연료 및 공기탱크, 은분 휠을 기본으로 적용했다.
기존의 멀티리프 스프링 대신 200mm 더 길어진 롱 테이퍼 스프링은 우수한 승차감을 보장한다.
○파워텍 엔진
완전 전자식 엔진 : 완전 전자제어 엔진으로 운전 조건에 따라 ECU가 엔진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매연을 최소화하고 연비를 향상시킨 100% 전자제어 엔진이다.
고출력 초강력 엔진 : 차량 운행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엔진 회전수인 1000∼1500rpm에서 최대토크가 일정하게 발휘되어 출발 및 주행성능이 우수하고 엔진의 최대출력이 국내 최고인 440마력으로 국내 경쟁사 및 수입차 대비 월등하다.
최저의 연료 소모율 : 전자제어 장치를 통한 정확한 연소와 분사시기 조절로 고유가 시대에 부합하는 상용차의 경제성을 실현했다. 실린더당 4밸브의 24밸브 구조는 연소실내 공기 공급을 증대시켜 차량의 응답성 및 연비를 향상시켰다.
내구성 혁신 : 실린더 블록의 외벽 두께를 증대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냉각성능을 대폭 향상시켰으며 흡배기 밸브의 단면 재질을 고속도강으로 소결 처리하여 밸브의 무수한 열림과 닫힘에도 윤활성과 내마모성을 유지하도록 했다.
환경 친화형 엔진 : 단계적으로 강화되는 국내 및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저공해 환경친화형 엔진이다. 파워텍 엔진은 향후 배기가스 규제 강화시에도 대응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엔진 생산이 보장된다.
○ 신기술
■ 차선이탈경보장치 : 영상정보와 차량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전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한 경우 경보를 울려주는 경보장치다.
카메라 일체형 장치 장착으로 소형화하여 경량화를 만족시켰다.
■ 텔레매틱스(오토 PC) : 상용차량 정보통신 시스템으로 서비스센터를 통해 화물주선 연합체와 연계하여 공차, 배차, 화물정보, 차량관리 서비스, 차량 위치추적 정보, 콜 센터, 실시간 교통정보, 뉴스/증권/기상 등 생활 편의 정보 및 전자상 거래 등 인터넷을 이용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