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델파이, 한국과 중국에 기술연구소 설립


델파이, 한국과 중국에 기술연구소 설립

- 초기 투자액 4천 만 달러 -
- 델파이가 한국과 중국에 대해 전념하고 있음을 입증 -

델파이는 한국과 중국에 각각 기술연구소를 설립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들 연구소 설립으로 델파이는 아태지역에 13개 100% 소유 생산공장, 17개 합작사 및 6개 기술연구소를 가동하며 완성차업체 및 애프터 마켓 영업, 서비스 분야를 지원하게 된다.

델파이의 부회장이며 기술담당 최고임원인 도널드 렁클(Donald Runkle)은”고객들은 아태지역 현지에서 좀 더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중국과 한국에서의 성장기회는 매우 큰데 반해 이들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에서 사업을 펼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국과 중국의 기술연구소들은 고객들에게 좀 더 높은 수준의 기술적 지원을 할 것이다. 신규 설립되는 이들 연구소들로 인해 델파이는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연구 개발 투자에 대한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2002년 기간 중 아태지역에서의 델파이의 100% 소유 회사들에 의한 매출은 20% 이상 증가하여 1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7억 7천 7백만 달러 상당의 델파이 이외의 고객들에 대한 매출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아시아 태평양 이외 지역 소재의 델파이에 대한 매출이다. 중국에서의 매출은 2002년에 30% 이상 증가함으로써, 2년 연속 30%를 초과하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2003년 기간 중 델파이의 아태지역에서의 매출 증가율은 전년도 증가율을 상회했으며, 이는 40%에 육박하는 중국에서의 매출증가율에 힘입은 바 크다.


델파이코리아 기술연구소

서울 근교(용인)에 소재하는 델파이코리아 기술연구소는 2004년 6월 완공을 목표로 하며 예상고용인원은 240명이다.

이 기술연구소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센터이며, 초기에는 가솔린 및 디젤 엔진제어시스템(EMS)에 역점을 둘 것이다. 또한 완성차 고객들의 R&D 센터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함으로써 향상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기술연구소 내의 시설로는 차량 배기가스 연구동과 엔진 다이너모미터 연구동 등이 있다.

한국의 2002년 자동차 생산대수는 3백 십만 대이며, 세계 제6위의 자동차 생산국이다. 2007년 까지는 생산대수가 거의 3백 5십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델파이코리아는 1989년 7월 1일 설립되었으며, 현재 6개의 합작사와 1개의 100% 소유 자회사에 약 4천 3백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델파이의 모든 사업부문들이 한국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있으며, 생산 중인 주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에어백, 컨버터, 컴프레서, 난방장치, 조향 시스템, 차량용 발전기, 밸브, 배터리, 전력 및 신호 배전 시스템, 에어컨 시스템 모듈, 컨덴서, 센서, 랙&피니언(rack & pinion) 기어, 칼럼/하프 샤프트, 도어 잠금장치, 연료 분사장치.

델파이차이나 기술연구소

델파이가 100% 소유하는 이 기술연구소의 공식명칭은 Delphi China Technical Center Co., Ltd. 이며, 상하이 푸동 신지구의 와이가오퀴아오 자유무역지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기술연구소는 2005년 6월에 완공 예정이며 초기 고용인원은 500명 이다.

약 25명의 델파이 델코 전자 사업부문의 디자인 및 시스템 엔지니어와 매니저 들이 이미 인근의 시설에서 근무 중이며, 기술연구소 완공과 동시에 입주할 것이다. 이 기술연구소는 전세계 자동차업체와 더불어 중국 내 현지 완성차 고객 및 외국고객 들에 부품,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공급 할 예정이다.

전춘택(全春澤) 델파이 아태지역 담당 사장은 “델파이는 아태지역에서 높은 수익을 올리며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아태지역은 델파이의 고객 및 시장 다각화 정책 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델파이는 뛰어난 기술 역량을 갖추고서 아태지역에 전념함으로써 중국 및 아태지역의 여타 국가들의 성장을 지원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델파이는 중국 자동차시장의 성장을 예견하고서 1993년 중국에 진출했으며, 중국 내 대표적인 외투 부품 공급업체이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세계 3위의 자동차생산 대국이다. 현재, 델파이 차이나 매출의 약 80%는 중국 내에서 발생하고 있다.

2001년 델파이는 중국의 애프터마켓 시장에 공식적으로 진출했다. 델파이 브랜드의 반영구(maintenance-free) 배터리는 중국에서 대표적 브랜드의 하나가 되었다. 중국에서 판매되는 2개의 반영구 배터리 중 하나는 델파이 제품이다.

상하이 푸동 신지구는 중국 내 최대 규모의 특별경제개발구역이다. 개발은 1990년 4월 시작되었다. 10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와이가오퀴아오 자유무역지대는 푸동의 4개의 개발지역 중의 하나이며, 해외무역, 보세창고, 수출절차 처리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세계의 델파이 기술연구소

델파이는 세계적인 관점에서 자사의 엔지니어링 자원 및 광범위한 입지를 활용하고 있다. 중국, 한국, 멕시코, 파리, 도쿄, 동유럽, 인도 등지에 소재하는 기술연구소들의 인력들로 인해 고객들이 성장하는 곳에서 델파이 또한 성장을 이룰 수 있으며, 고도로 숙력된 인력을 활용할 수가 있다.

연구소 입지 선정에 있어서 델파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다: 벤치마킹, 정치적 안정, 경제 정책, 지적 재산권, 물류, 인프라, 인건비, 조세 구조, 발전 동기, 고객과의 근접성, 교육기관, 기술 가용여부, 기타.

한국과 중국의 기술연구소들이 추가됨으로써 델파이는 아태지역의 일본, 싱가포르, 인도, 중국, 한국(2개) 등의 국가에서 총 6개의 기술연구소를 운영하게 된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