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한국인 운전태도 공격적 (10/17)


대다수의 외국인들은 우리나라 운전자들의 운전태도가 공격적이고, 한국에서 교통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른운전자들의 모임(공동대표 설재훈)\'이 지난 8월23일부터 9일동안 인천국제공항, 이태원, 경복궁 등에서 외국인 관광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확인됐다.

16일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5%가 한국 운전자들의 운전태도에 대해 \'매우 공격적(37%)\'이거나 \'공격적(38%)\'이라고 평가했고, \'방어적\'이라는 대답은 10%에 그쳤다.

교통사고를 당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매우 높다(15%)\'거나 \'높다(39%)\'는 응답이 54%에 달했고, 가장 위협적인 교통수단으로는 이륜차(36%), 버스(24%), 승용차(16%), 택시(14%), 화물차(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교통경찰의 단속강도와 관련, 46%가 \'매우 느슨하다(10%)\'거나 \'느슨하다(36%)\'는 견해를 밝힌 반면 \'엄격하다\'는 응답은 20%에 불과해 대다수 외국인들은 교통경찰의 느슨한 단속태도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실제로 일부 외국인은 \'한국의 교통경찰관은 도로에 서 있기만 할뿐 위반자를 단속하지 않아 교통질서가 엉망이다\'고 지적했다.

한국 운전자들의 교통법규 준수 정도에 대해 50점을 매긴 응답자가 1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60점(13%), 30점(12%) 등 순으로 조사돼 한국 운전자들의 교통법규준수 수준에 대한 외국인들의 전반적 평가는 낙제점인 49점이었다.

교통문화 수준의 평균 점수는 50점이었다.

반면에 외국인들은 도로안전시설에 대해서는 교통법규 준수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52점을 매겨 \'하드웨어(Hardware.도로시설)\'보다는 \'하트웨어(Heartware.운전태도)\'에 더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외국인들은 한국의 운전자들이 교통질서를 준수하면 교통체증을 평균 23%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해 교통체증의 중요한 원인이 교통질서를 지키지않는 데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 운전자들이 고쳐야 할 잘못된 운전습관을 묻는 주관식 설문에는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하는 갑작스런 차선변경 ▲경적 과다 사용 ▲정지선 미준수 ▲교통신호 무시 ▲무리한 추월 등을 지적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일부 응답자는 \'한국 운전자들의 나쁜 운전습관의 뿌리는 \'나만\' 아는 데있다(미국인)\' \'운전중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운다(캐나다인)\' \'끊임없이 차선을 바꾼다(영국인)\' \'항상 1등이 되려 한다(독일인)\' \'다른 차에 바짝 붙어 운전한다(영국인)\'는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하지만 교통시설에 대해서는 \'도로에 구멍이 많다\' \'공사하는 곳이 많다\' \'보행자 신호가 짧다\' \'불법주차가 심하다\' \'교통량 감지시설이 부족하다\' \'잘못된 방향표지판이 있다\'는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대체로 훌륭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외국인들은 월드컵에 대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교통법규 위반자 단속강화▲도로공사.보수 조속 완료 ▲이륜차 보도통행 금지 ▲운전자 예절교육 ▲불법주차근절 ▲더많은 영어표지판 설치 ▲이태원 등 보행자가 많은 지역에서의 통과차량 크기 제한 및 제한속도 강화 등을 제안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