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햇빛과 폭염으로 차량이 받는 스트레스가 심한 8월, 무엇보다 폭염의 도로 위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타이어다. 뜨겁게 달궈진 한낮의 노면을 운행하며 한껏 팽창됐다가 야간에 수축이 되면서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평소보다 빨리 빠질 수 있기 때문. 그렇다면 여름철 타이어 관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브리지스톤의 도움말을 통해 휴가길 장거리 운행 전후의 타이어 관리법을 알아보자.
타이어 공기의 자연감소 확인
우선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곳이 없는지 눈과 귀로 확인한다. 타이어의 공기는 타이어 자체에 결함이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빠져나가게 되어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낮과 새벽의 일교차로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팽창, 수축을 크게 반복하므로 타이어 공기압을 수시로 점검하고 보충해줘야 한다.
제동력과 연비에 영향 주는 공기압
정상보다 낮은 공기압은 제동력을 떨어뜨린다. 또한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오랫동안 주행을 하게 되면 타이어가 불규칙하게 닳는 편마모가 발생하고, 연비도 나빠진다. 특히,고속운행 시 스탠딩 웨이브현상이 발생해 타이어가 파손되고 심한 경우 대형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란,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타이어 내 공기가 특정부위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타이어가 물결 모양을 치면서 파손되는 현상이다.
브리지스톤 코리아 송진우 차장은 “타이어 공기압은 자동차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수치에 맞춰주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타이어 공기압은 차량 무게, 성능, 내구성, 계절 등의 다양한 조건을 감안해 계산된 수치이다”라고 설명한다. 타이어 공기압은 보통 자동차 운전석 문을 열면 문 안쪽에 표시되어 있으며, 한 달에 1회 정도는 상태를 점검하고 보충해주는 게 좋다.
공기압은 수막현상과도 관계
수막현상이란 빗물이 고여있는 도로를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릴 때 타이어와 지면 사이에 얇은 수막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수준보다 낮을 경우, 수막현상이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최적의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고 속도를 줄여 이를 예방해야 한다. 더불어 빗길에서는 주행속도를 평소보다 20%정도 줄이고,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하는 운전습관을 들인다.
장거리 주행 전 마모상태 점검
타이어가 땅에 접지하는 면을 트레드라고 한다. 트레드에는 주 홈, 보조 홈, 기타 홈과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이를 트레드 패턴이라고 한다. 이 트레드 패턴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빗길에서의 배수기능. 따라서 장거리 주행 전에는 반드시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타이어 마모 상태는 타이어의 옆 부분에 있는 삼각형(▲) 표시로 확인할 수 있다. 삼각형 표시가 가리키는 위쪽을 살펴보면, 홈 속에 돌출된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마모한계를 표시한다. 삼각형 표시가 마모한계(1.6mm)까지 다다랐다면 타이어를 교체할 시기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원짜리 동전으로 타이어 마모를 쉽게 알아보는 방법도 있다. 정상 타이어는 동전을 트레드 홈에 넣었을 때 이순신 장군의 사모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만약 이순신 장군의 사모가 보인다면 타이어 수명이 다했다고 보면 된다. 또한, 마모 한계에 여유가 있더라도 타이어의 마모가 한쪽으로 쏠리는 편마모가 심하거나 층을 이루면서 마모됐다면 앞뒤 좌우 위치를 바꿔주거나 새로운 타이어로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