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승기

포드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 대자연 속으로의 동행

포드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은 포드의 대표 SUV인 익스플로러의 픽업버전, 즉 SUT다. SUV를 베이스로 하는 만큼 주행성능과 실내 공간에서 트럭 베이스의 픽업에 앞서고, 화물 적재 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컨트롤 트랙 4륜 구동 시스템은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을 발휘하고, 온로드 주행에서도 안정감이 뛰어나다.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까지 갖추고 있어 가족이나 동호인들과 함께 자연을 찾거나 레저를 즐기기에는 멋진 선택이지만 V6 4리터의 대배기량 엔진은 국내 실정에 잘 맞지 않는다.

글 / 박기돈 (메가오토 컨텐츠 팀장)
사진 / 고병배(메가오토 컨텐츠팀 기자)


지난 서울 모터쇼의 포드 부스에는 뉴 몬데오의 활약에 가려서 크게 빛을 보지 못했지만 화려한 컬러에 다양한 레저 장비를 실은 멋진 트럭(?)이 한 대 전시되어 있었다. 앞모습은 포드의 익스플로러인데 뒷모습은 픽업 트럭인 이 모델은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이었다. 이름에서부터 픽업이니, 트럭이나 하는 냄새를 피우지 않고 뭔가 역동적이고 자유로운 이미지를 더하고 있는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은 포드의 대표 SUV인 익스플로러에 화물 공간을 확대해서 만든 SUT(스포츠 유틸리티 트럭)이다. 우리나라로 보자면 쌍용에서 선보였던 무쏘 스포츠와 그 이후 등장한 액티언 스포츠에 해당하는 모델인 셈이다.

그러면 이미 국내에서 판매 중인 닷지 다코타와는 어떻게 다를까? 굳이 비교를 하자면 다코타는 처음부터 트럭으로 개발된 모델로, 화물 적재함이 길고 승객석은 1열만 존재하는 일반적인 픽업 트럭을 기본으로 승객석이 연장되거나 2열까지 갖춘 형태로 라인업이 확대된다. 하지만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은 SUV인 익스플로러를 베이스로 1열과 2열 공간을 승객석으로 확보한 후에 2열 뒤쪽의 트렁크 공간을 열어서 화물 적재함으로 만들면서 적절한 사이즈로 확대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휠베이스는 길어졌지만 파워트레인과 서스펜션 시스템 등은 동일하게 사용한다. 또한 화물공간이 전형적인 픽업 트럭에 비해서는 작을 수 밖에 없다. 국내 법규로는 일정 면적이상의 화물공간을 확보해야 화물차로 분류되어 세제 등의 혜택을 볼 수 있는데,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의 경우에는 화물공간이 기준에 미달되어 승용차로 분류된다.

그럼에도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의 높은 활용성은 큰 매력이 아닐 수 없다. 충분한 견인력을 확보한 만큼 트레일러를 끌기에 충분하고, 다양한 레저 장비를 손 쉽게 싣고 다닐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험로를 돌파할 수 있는 능력이 탁월한데다 온로드에서의 주행 안정성 또한 전형적인 트럭류에 비해서 뛰어나다. 사진 촬영을 위해서 즐겨 찾는 해변의 선착장에서 자주 목격하게 되는 광경 중의 하나가 자동차로 보트를 실은 트레일러를 견인해 올리는 장면이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그 만큼 레저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는 반증일 터다. 이런 상황에서라면 픽업의 상용적 효용 보다는 레저나 스포츠를 지향하는 효용이 더 큰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 같은 SUT는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은 SUV 익스플로러를 베이스로 휠베이스를 426mm 늘여 화물공간을 확보하였으며, 그로 인해 차체 길이도 425mm 늘어나, 차체의 전장×전폭×전고가 5,355×1,875×1,840mm에 이른다. 5m가 채 되지 않았던 익스플로러에 비해 훌쩍 커버린 길이가 국내에서는 조금은 부담스러울 수 있는 크기다. 하지만 다지 다코타의 5,557mm에 비하면 아주 조금 짧으며, 실내 공간 면에서는 더블 캡 형태의 다코타에 비해 훨씬 여유 있는 실내를 확보하고 있다. 그 만큼 화물 적재함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앞 모습은 좀더 더프한 모습으로 변한 라디에이터 그릴 부분을 제외하면 페이스리프된 포드 익스플로러와 같다. 가운데 굵은 띠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나뉘어 있는 라디에이터 그릴은 익스플로러와 같이 전체를 크롬으로 감쌌는데, 아래 부분의 가로 핀을 없애고, 윗 부분의 가로 핀은 한 개 줄여 간격을 넓히고 좌우에 세로 구멍을 추가해 전체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더했다. 방향지시등의 반원 만큼을 돌출시킨 헤드램프와 그 아래 범퍼, 안개등의 모습은 익스플로러와 똑같다.

옆으로 돌아서 뒤로 돌아가면 B필러 이후부터 새롭게 개발된 차체를 볼 수 있다. C필러에서 2열 도어로 떨어지는 라인을 활처럼 휘어지게 처리했는데, SUV에서는 2열 도어로 파고 들었던 휠 하우스가 스포츠 트랙에서는 멀찍이 떨어져 있어 도어 라인을 깔끔하게 다듬을 수 있었다. 늘어난 휠 베이스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재미있는 것은 C필러 뒤로 위치하고 있는 화물 적재함이 C필러와는 분리되어 있지만 C필러를 감싸게 만들어 옆에서 봤을 때 화물 적재함이 승객 공간과 분리된 느낌이 나지 않게 만든 점이다. 도어 아래에는 사이드 스텝을 달아 승하차를 돕는다. 지붕에는 루프 랙도 마련되어 있는데, 크롬처리 되어 있어 고급스럽다.

화물 적재함은 공간이 1,062리터에 달하는데, 얼핏 봐서 검은색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적재함 바닥과 옆면은 손상이 적은 특수 고무와 부식을 막아주는 SMC(Sheet Molding Compound) 복합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레저 장비나 화물을 싣고 다녀도 내구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철판이 노출되어 있는 화물용 픽업 트럭과 달리 레저용에 더 적합하도록 꾸민 것이다. 시승차에는 3단의 파이프로 된 울타리 모양의 베드 익스텐더가 장착되어 있었는데, 적재함의 뒷 문을 수평으로 내린 후 익스텐더를 뒷문쪽으로 180도 돌리면 뒷문 바닥면까지 포함한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럴 경우 1,232리터로 공간이 늘어나면서 길이가 긴 장비도 안전하게 실을 수 있다. 시승차에는 또한 3면으로 분할된 적재함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데, 승객석 쪽으로 좁은 2개의 커버와 차체 뒤쪽으로 넓은 한 개의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서 크고 작은 짐들을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실을 수 있다. 커버는 자동차 열쇠로 여는 장금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궂은 날씨에 대한 대비 뿐 아니라 도난에 대한 대비도 충분하다. 락을 모두 풀면 커버 전체를 벗겨 내 분리 보관할 수 있다. 적재함 바깥에는 위 가장자리를 따라서 좌우에 각각 3개씩 로프를 걸 수 있는 고리도 마련되어 있다.

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는데, 2열 시트 뒤 유리의 가운데 부분이 아래로 열리게 되어 있어 적재함에서 실내까지 이어지는 긴 물건을 실을 수도 있게 하고 있다. 혹시 여행 중에 뒤 창문을 열고 적재함에 있는 물건을 꺼내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도 있을지 궁금하다.

뒤 펜더까지 연결된 뒷범퍼에는 윗면에 발판이 마련되어 있고, 아래에는 트레일러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는 익스플로러 SUV와 일부 소재만 다를 뿐 동일하다. 대표적으로 가죽 시트의 가운데 부분과 도어 트림 윗면 부분을 흰색으로 마감한 투톤 처리로 스포티한 감각을 살린 점과 익스플로러에서 우드 그레인으로 장식한 센터 페시아와 도어 트림 부분을 카본 느낌의 트림으로 교체한 것 정도의 차이가 난다. 운전석 시트는 8웨이 전동식에 2웨이 전동 럼버 서포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동반자석은 수동으로 조절한다. 시트 포지션은 익스플로러와 마찬가지로 웬만한 SUV보다 높은 편이어서 도로에 나서면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주행 안정감에서는 다소 불리할 수 밖에 없다. 타고 내릴 때는 필러 안쪽이 손잡이를 잡고 사이드 스텝을 밟고 타야 안전하고 편하게 탑승할 수 있다.

도어 트림에는 문을 끌어 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두 개가 있는 점과 컨베이어 벨트, 혹은 관절처럼 생긴 부분의 앞쪽에 크롬 처리된 도어 핸들 등은 여전히 재미있지만 왼팔의 암레스트로의 효용은 떨어진다. 스티어링 휠은 틸팅 기능만 지원하고 텔레스코픽 기능이 없지만 센터 페시아 하단에 있는 스위치로 페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좋은 운전 자세를 잡는 데는 문제가 없다. 스티어링 휠 안쪽으로 보이는 계기판은 흰색 바탕에 크롬 링을 더하고 계기 다이얼 하단부에 연료계와 전압계를 통합한 모습과, 특히 계기판 전체 커버 가장 자리까지 크롬으로 마감한 것 등은 상당히 독특하다.

디자인이 심플하지만 CD6매를 인대시 타입으로 수납하는 CD 체인저 오디오는 기대 이상의 사운드를 제공한다. 2열 시트 뒤에 배치된 서브 우퍼도 중후한 사운드를 발산하는 데 한 몫 한다. CD체인저는 MP3를 지원하며 센터 콘솔 박스 앞쪽에 AUX 단자도 마련하고 있어 오디오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거기다 2열 탑승객을 위해 천정에는 DVD 플레이어와 모니터도 마련하고 있다. 익스플로러 SUV에 장착된 것과 동일하며 DVD 재생 시 풍부한 사운드가 매력적이다. DVD 외에도 다양한 외부 멀티 미디어 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천정기기 옆면에 3채널 AUX 단자도 마련하고 있다. 이 차가 단순히 화물차가 아니라 레저용이나 가족 나들이용에 적합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센터 콘솔 뒷면에는 뒷 좌석을 위한 에어컨 배출구도 마련되어 있다. 화물이 많을 경우, 혹은 실내에서 운반해야 하는 화물이 있을 경우에는 뒷 좌석의 시트 등받이를 앞으로 접어 화물칸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에 탑재된 엔진은 익스플로러와 동일한 V6 4.0리터 엔진이다. 유럽 메이커였다면 4리터 배기량으로 V8 엔진을 만들었을텐데 역시 미국차답다. 최고출력 213마력/5,100rpm과 최대토크 35.1 kg.m/3,700rpm 또한 배기량 4리터를 감안하면 비교적 낮은 수치이지만, 높은 최고속도를 요하지 않으면서 저속 토크나 견인력을 위주로 주행하는 미국 SUV의 특성을 고려하면 비교적 넉넉하면서 무난한 성능이다. 다행히 이 V6 엔진은 어떤 조건에서든 균일할 토크를 뿜어내도록 설계되었으며, 미연방 Tier II 규정을 충족시키는 친환경 엔진이라고 포드는 설명하고 있다.

변속기는 자동 5단으로 최근 많이 적용되고 있는 스텝트로닉 기능은 적용되지 않았다. 지금의 익스플로러가 등장하면서 과거 칼럼식이던 기어 레버가 플로어로 내려왔는데, 기어 레버가 마치 굵은 통나무처럼 심플하면서도 우직한 모습이 나름 매력 있어 보인다. 기어 레버 좌측에는 오버 드라이브 오프 버튼이 위치해 있다.

가속은 상당히 넉넉한 편이다. 미국 차량들이 주로 그렇듯이 수치상 낮은 토크나 마력과는 상관없이 저속에서는 넉넉한 사운드와 함께 시원하게 가속된다. 변속은 70, 95, 145km/h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부터는 호탕하게 뻗어 나가던 가속력도 현저히 떨어지기 시작하고, 5단 약 4,800rpm에서 175km/h를 기록했다. 고속도로에서의 이러한 가속력과 고속 주행 테스트는 사실 이 차의 성격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다만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을 지닌 모델이지만 온로드에서의 주행 또한 부담 없다는 점을 확인하기 위함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기어비에서 1단으로 주행하는 영역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특별히 긴 것은 오프로드 주행을 염두에 둔 기어비 세팅이다.

100km/h로 주행할 때 5단에서의 회전수는 1,800rpm으로 낮은 편이다. 기어 레버 좌측의 O/D OFF 버튼을 누르면 회전수는 2,500rpm으로 상승하고 다시 레버를 3단으로 이동하면 3,800rpm으로 높아진다. 이렇게 2단과 1단까지 임의로 선택해서 주행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선택은 엔진 브레이크 상황을 만들거나 특별한 노면을 주행할 때 필요한 것이지 일반 도로에서 다이나믹하게 주행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차의 성격상 험한 산길을 오래도록 내려가거나 할 경우 반드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하는 만큼 저단 기어 사용은 필수다.

온로드 주행에서는 예전 익스플로러가 보여 주었던 출렁이는 듯한 차체의 움직임이 상당히 절제되었다. 커브길을 고속으로 돌아나가는 식의 주행이 아니면 상당히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 가족과 함께, 혹은 동호인들과 함께 레저를 위해 장거리를 주행해도 큰 무리가 없는 주행능력이다. 다만 차의 성격을 고려해 한 발 앞서 준비하는 방어 운전은 필수다.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에는 운전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4륜 구동 주행 모드가 있다. 일반적인 주행에서 사용하는 4X4 AUTO, 높은 접지력을 요하는 눈길 등의 주행이나 가벼운 오프로드에 적합한 4X4 HIGH, 그리고 험한 오프로드에 적합한 4X4 LOW가 그것이다. 4X4 HIGH에서 LOW로 전환할 땐 다른 SUV들처럼 먼저 기어를 중립(N)에 놓은 후 4X4 LOW 버튼을 누르고 완전히 전환된 후 기어를 옮겨 주행하면 된다. 물론 LOW에서 HIGH로 전환할 때도 마찬가지다. 스포츠 트랙의 오프로드 성능은 정통 오프로드 SUV 수준과 다르지 않다. 웬만한 진흙길이나 모래밭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물론 트레일러를 끄는 견인력에서도 부족함이 없다.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에는 다양한 첨단 안전 장비도 풍부한데, 전복 방지 장치 RSC®(Roll Stability Control®)와 연결된 어드밴스트랙®(AdvanceTrac®)이 주행 안정성과 접지력을 높여 주며, 특허 받은 세이프티 캐노피™, 고급 제한 모듈 및 이중의 정면 충돌 센서, 5단계의 앞좌석 승객 센서, 운전석 위치 센서 등의 첨단 안전 센서, 2단계 팽창 에어백, 측면 충돌 에어백 등 10가지의 최첨단 안전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은 4륜 구동 자동차들 중에서도 화물 적재함을 갖춘 SUT다. 하지만 트럭을 기본으로 하는 픽업트럭이 아니고, 기본적으로 승객석을 확보한 후 화물 적재함을 키운 SUV 베이스의 SUT인 만큼 거주성과 주행성에서 여유가 있다. 1, 2열 여유 있는 공간과 2열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가족 단위 혹은 동호인끼리의 장거리 이동에 불편함이 없고, 여행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거기다 뛰어난 험로 주파 능력을 갖춰 특별한 레저를 위한 대자연을 찾아 가는데 어려움이 없을 뿐더러 그 곳에서 즐길 다양한 레저용 장비를 충분히 운반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춘 차다.

이런 4륜 구동 모델들을 접할 때면 늘 삶의 새로운 방식을 떠올리게 된다. 도시에서의 바쁜 일상을 떠나서 대 자연을 누비는 모습을 그려보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삶의 방식에는 정말 없어서는 안될 자동차가 이러한 4륜 구동 자동차들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익스플로러 스포츠 트랙 같은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자연을 찾아 나서게 될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포드 익스플로러 주요제원

크기
전장×전폭×전고 : 5,355×1,875×1,840mm
휠 베이스 : 3,315mm.
트레드 (앞/뒤) : 1546 x 1571mm
최저지상고 : 215~230mm.
공차중량 : 2,275 kg
연료탱크 용량 : 85.2리터
적재함 용량 : 1,062리터

엔진
형식 : V6 DOHC
배기량 : 4,009cc
보어×스트로크 : 100.4 x 84.4mm
최고출력 : 213마력 / 5,100rpm
최대토크 : 35.1kgm / 3,700rpm

트랜스미션
형식 : 자동 5단
기어비 (1/2/3/4/5//R) : 3.22 / 2.29 / :1.55 / 1.00 / 0.71 // 3.07
최종감속비 : 3.73

섀시
서스펜션 (앞/뒤) : 맥퍼슨 스트럿 / 트레일링 암
브레이크 : 디스크/디스크
스티어링 : 랙 앤 피니언
구동방식 : 4륜 구동
타이어 : 235/65R18

성능 :
0-100km/h 가속 : -
최고속도 : -
연료탱크 : 85.2L
연비 : 6.5km/L

가격 : 4,720만원(부가세 포함)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0

0 / 300 자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음글
264마력의 강력하고 편안한 로드스터, GM대우 G2X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