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1999년 국내자동차산업

IMF 이후 위축된 내수시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고, 해외 시장에서의 가격 및 품질 경쟁력 제고로 수출도 호조세 전환하고 있다.

\'99년도 국내 자동차 생산은 내수시장의 회복과 차량 대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31-33 % 증가한 255만대로 전망하고 있다.

8월말 기준, 총 생산대수는 175만대로 전년동기대비 51.7% 상승하였다. 업체별 생산대수는 현대자동차 78.5만대로 44.9%를 차지하여 전년동기 39.0%보다 5.9% 증가하였고 대우자동차가 48.9만대, 기아자동차가 41.1만대를 생산하였다.

수출은 신차투입 및 구미지역 호조가 예상되지만 대우,삼성 자동차 업계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하반기중 5% 정도 증가 할것으로 산업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일부 인기차종의 생산라인 확장과 신차개발 및 연구개발 투자 증가가 예상되나,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설비투자는 아직 되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99년 국내 자동차 내수판매는 경기 회복 및 미래소득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자동차관련세 및 금리 인하, 업계의 다양한 신차종 출시 및 판매진작노력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41.0% 증가한 110만대가 전망된다. 실적을 보면, 6월이후 지금까지 월 평균 내수 판매량 10만대 상회하고 있다.

  8월까지 내수시장은 10.8만대로 7월보다는 계절적요인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3개월 연속 10만대 이상 판매되고 있다. 특히 RV차량의 경우 3개월 연속 내수 1위를 지키고 있다.

8월중 승용차는 6.7만대중 다목적용차량(RV카)이 2.3만대(34.3%)로 6월 이후 내수 1위를 지키고 있다. 경차는 소형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2월이후 다시 월 1만대 이하의 판매량을 보인다.

수출은 \'98년 외환 부족으로 경직됐던 수출 및 무역금융의 완화, 기아의 대외신인도 회복, 신모델 투입 및 해외판매망 강화, 대우의 북미시장 판매 본격화 등으로 전년대비 6.4% 증가한 145만대에 이를 것으로 본다.


생산, 내수, 수출 실적 및 전망
구분 \'97년 실적 \'98년(A) \'99년 전망 증감률
실적 증감률 당초(B) 수정(C) B/A C/A
생산 2,818 1,954 30.6 2,400 2,550 22.8 30.5
내수 1,513 780 48.5 900 1,100 15.4 41.0
수출 1,317 1,362 3.4 1,450 1,450 6.4 6.4




변화1) 수출 주도형 산업

8월 13.2만대를 수출하여 8월말 현재 국산 자동차의 총 수출대수는 95.7만대로 22.3% 증가함. 현대자동차가 40.2만대, 대우자동차가 30.2만대로 수출에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81년부터 \'85년까지의 성장 준비 단계(소규모 내수중심), \'86년부터 \'88년까지의 수출 확대기(북미진출, 본격 양산단계), \'89년 이후 자동차대중화단계(내수 급신장)를 거쳐 \'94년 이후 내수시장 성숙단계(수출 급신장, 내수 성장률 둔화)에 진입하였다.

\'99년 내수판매는 \'9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에서 플러스 성장세로 반전되는가 하면, 수출도 안정된 성장세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99년 수출비중은 56.9%를 점하여 \'98년에 이어 수출이 내수를 초과하게 될 것이며, 이는 수출이 내수를 초과한 \'86~\'88년(3년)에 이어 2번째 경우이다.

국내 자동차 수요의
구조변화(수출)내수
1차
\'86~88년
1차
\'86~88년

또한 10년만에 다시 수출이 내수를 초과한 수요의 구조변화(수출>내수)현상은 국내 경제가 본격 회복되기까지 지속되어 당분간 한국자동차산업은 수출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변화2) 다목적 차량 판매 등 구매 패턴의 변화

1999년 1~7월간 다목적차의 판매는 전년동기대비 137.4% 증가했으며, 총 판매 대수는 11만대로, 승용차내 판매 비중이 23.9%로 상승했다.

舊모델인 스포티지와 록스타를 제외한 다목적차의 8개 모델 모두 판매 증가를 보이고 있고, 생산량이 주문에 못미쳐 약 10만대의 주문이 적체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승용차에 비하여 저렴한 세금과 유지비가 다목적차 판매 급증의 배경으로 보고있다. 현행 법상 다목적차는 승합차로 분류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슷한 승용차에 비해 세금이 300만원 정도 저렴하고, 연료로 사용하는 LPG의 리터당 가격이 휘발유에 비하여 연료비가 1/3 수준에 불과 하여, 5년간 사용하면 1,000만원에 가까운 유지비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04년까지 다목적차에 대한 세금이 현행대로 유지될 전망이어서 낮은 세금에 대한 장점 지속되리라 보며, 하반기 이후 다목적차의 신모델 출시가 지속될 예정이어서 신차효과를 통한 다목적차의 판매붐이 이어질 전망이다. ·현대는「트라제」(10월 예정)와「산타페」(2000년 1월 예정), 대우는「U-100(개발명)」을 연말쯤 출시할 예정이다.


변화3) 자동차 업체 구조조정

어려움을 겪었던 기아자동차는 판매 호조와 노사화합으로 정상화가 가시화 되고 있다. 상반기 내수와 수출 증가율이 각각 67.2%와 43.3%를 기록하며, 카니발, 카렌스, 카스타 등 이른바「3카」의 판매가 특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 실적을 토대로 8월중에 법정관리 해제를 신청하고 이후 1조원 정도 유상증자를 실시할 예정이다.

대우자동차는 외자유치 방안으로 GM과 전략적 제휴를 추진중 이며, 대우는 외자유치, GM은 아시아와 동구 지역의 현지 거점 마련이 목적으로 본다. GM의 참여가 실현될 경우 국내 자동차산업은 앞으로 지각변동이 불가피 하다본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1

0 / 300 자

bobo***** 2017-09-01 16:03 | 신고
99년도 imf시절이네...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인기매거진

2025-04-29 기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