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커스

오토자동차 급발진 사고



\'98년 이후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국민불안 요인이 되고, 피해보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 동안의 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급발진 사고 현황을 보면 \'98년 : 225건, \'99년(5말 현재) : 약 150건이 접수됐다.

급발진 사고를 규명하기 위해 정부, 자동차회사, 소비자단체 등 많은 전문가들이 조사를 했지만 아직까지는 명확히 원인이 밝혀진 것은 없다.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미국, 일본등에서도 급발진 사고가 빈발하여 2-3년간 광범위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차량결함 사항을 밝혀내지 못했다.

국내에서는 급발진의 발생 원인으로 전자파를 의심하여, 지난해 자동차성능시험연구소,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소비자보호원이 합동으로 전자파 장해여부를 시험하였으나 급발진과 연관성을 밝히지 못한 채 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외국의 급발진 사고 조사 사례를 보면 일본의 경우 사고발생건수는 83년 1월∼89년 3월까지 약 6년 동안 1,167건이 발생했고, 조사기관은 자동차공업회(통산성 산하 일본자동차연구소 참여)가 주관하여 87년 6월∼90년 1월까지 2년8개월간 조사기간을 거쳐 조사했고, 조사방법은 기계적요인 조사, 인간적요인 조사로 나누어 조사했다.

먼저 기계적요인 조사는 엔진제어시스템, 자동변속장치, 제동장치등에 대한 기계적인 시험과 정속주행장치, 엔진회전수 보정장치 등 전자기기의 고장 조사 및 전자파, 정전기 및 열화시험을 했다.

인간적요인 조사는 페달배치(가속페달과 제동페달과의 거리)에 따른 작동실수 가능성 시험과 페달 조작시 운전자의 반응특성과 차량의 정지거리 시험을 했다.

조사 결과는 차량결함이 없고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1,016건(87.1%)이고 자동변속기 차량과는 무관한 단순한 조작실수 및 운전미숙 66건(5.6%), 정비불량 및 사용법 부적절 등 차량유지관리 불량이40건(3.4%), 사고상황정보가 불명확하여 조사가 불가능한 사례가37건(3.2%), 캬브레타에 이물질 유입 등 차량 제조단계의 불량이 8건(0.7%) 조사 됐다. 미국의 경우는 70년대 초반∼87년까지 사고발생건수는 수천 건이 발생했고, 교통부 도로교통안전청(NHTSA)을 조사기관으로 하여 87년 10월∼89년 1월까지 1년4개월 동안 조사를 했다.

조사방법은 구동장치 조사, 제동장치 조사, 인간적 요인 조사로 나누어 조사했고 각각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장치 조사는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었음에도 스로틀이 복원되지 않는 경우가 상당한 건수가 발견되었으며 결함이 재현되었고, ECU의 공회전 안정장치의 결함여부는 AUDI 5000에 발생되었으나 급발진 출력에는 훨씬 못 미쳤다. 전자 및 연료제어장치의 결함 여부도 있었는데 이는 스로틀 바디를 작동시키지는 못하므로 급발진 원인이 아니고, 진공호스 및 공기 유입관의 균열은 공기량 증가에 따른 출력증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발생 사실은 없었다.

다음 제동장치 조사는 스로틀 바디의 열림에 따른 제동거리의 증가를 조사했는데 제동력이 상실된 경우는 극히 일부의 차량이며 힘이 약한 운전자의 경우 구동력이 제동력을 상회할 수도 있고, 제동시 스로틀 바디의 열림은 페달 조작의 실수이며 제동실패로 인식될 수 있다고 판정했다.

마지막으로 인간적 요인 조사는 대부분의 급발진 사고는 페달의 오조작으로 판단되고, 차량에 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엔진 고출력의 원인은 페달의 오조작인 경우인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같이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사고는 국내나 외국에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스스로 조심하고, 안전운전에 관심을 갖는 것만이 현재까지는 급발진 사고를 막는 유일한 방법인 것이다.

오토승용차 급발진 방지 안전운전 요령을 살펴 보면

  1) 시동을 걸 때에는 주차브레이크(핸드브레이크)를 당긴 상태에서, 변속기를 P로 하고, 풋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시동을 건다.

  2) 시동을 건 후에는 rpm게이지를 확인하여 엔진회전속도가 1,000rpm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하고 출발한다. (특히 에어컨을 가동할 경우에는 rpm수치가 높을 수 있으므로 유의할 것)

  3) 출발할 때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기어변속을 한 다음 서서히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뗀다.

  4) 아직까지 급발진 사고의 원인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운전 중 휴대폰 등의 사용을 자제한다.

  5) 자동차는 가급적 출고상태로 사용한다. (특히, 원격시동장치나 전자제품을 설치하는 경우 전기배선 피복이 벗겨져 급발진 외에도 자동차 화재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할 것)

  6) 자동변속기 자동차의 가속·브레이크페달은 반드시 오른발로 조작한다.

  7) 급발진 할 수 있는 이상징후(엔진굉음, rpm게이지 급상승 등)가 있거나 급발진할 경우에는 즉시 브레이크를 최대한 밟고 시동을 끈다.

Copyright © CARISYOU. All Rights Reserved.

토크/댓글|2

0 / 300 자

asoz*** 2019-12-09 15:29 | 신고
안밟아도 달리는 최첨단 자동차..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bobo***** 2017-09-01 16:55 | 신고
98년도부터 문제가 되었는데 아직도 운전자 잘못 ㄷㄷㄷ

0 / 300 자

댓글 접기 댓글 접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