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내구레이스 챔피언십에 출전한 클래스1 르망 프로토타입의 드라이버들은 각각의 손에 컴퓨터를 쥐고 있다. 조향기능은 스티어링 휠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지만 포르쉐가 만든 가장 복잡한 레이싱카로 꼽히는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를 제어하려면 스티어링 휠 후면에 위치한 6개의 패들을 비롯해 전면에 배치된 24개의 버튼과 스위치를 조작해야 한다.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의 스티어링 휠은 특이하게도 평평한 직사각형이다. 사각 형태를 채택한 이유는 드라이버 교체 시 필요한 공간 때문이다. 특히 마크 웨버나 브랜든 하틀리같은 장신의 드라이버들은 사각 스티어링 휠이 아닐 경우 긴 다리를 빠르게 집어넣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중앙에 위치한 대형 디스플레이는 속도와 현재 기어 상태, 현재 선택된 모터 관리 모드,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드라이버에게 보여준다. 또한 좌측 상단 버튼을 사용해 디스플레이에서 정보를 선택하고 우측 그립에 위치한 컨트롤 버튼으로 야간에 디스플레이 밝기를 낮출 수 있다. 좌측 그립에 있는 버튼은 피트 라디오의 볼륨 조절을 담당하며 상단 우측의 네 번째 회전형 스위치로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속도를 조절한다.
스티어링 휠의 버튼과 스위치의 배열은 드라이버들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레이싱 상황에서 조작 편의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면밀한 검토를 통해 결정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튼들은 엄지손가락이 쉽게 닿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다. 주로 사용되는 우측 상단의 파란 버튼은 세계 내구레이스 챔피언십 서킷에서 다른 차량을 1바퀴 이상 추월할 때 주의 시그널을 보낼 수 있도록 헤드램프 점멸 기능을 하며, 버튼을 한 번 누르면 헤드램프가 세 번 점멸된다. 낮에는 헤드램프 시그널을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드라이버들은 항상 버튼에 엄지손가락을 올리고 주행한다.
좌측 상단의 빨간 버튼은 속칭 ‘부스트’를 위해 배터리에서 전기 에너지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 부스트는 1랩 당 에너지 사용량이 정해져 있다. 르망 서킷에서의 1 랩을 기준으로 6메가줄을 사용할 수 있지만 1랩을 돈다고 가정했을 때 초반에 에너지를 소진할수록 마지막 직선 구간에서 가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파워 배분도 염두해야 한다.
상단 좌우측 끝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는 라인에는 프런트/리어 트랙션 컨트롤을 조정하고 프런트/리어 액슬의 브레이크 밸런스를 배분하는 플러스와 마이너스 스위치들이 위치해 있다. 하단의 오렌지색 버튼 중 좌측 버튼은 드링킹 시스템을 조작하며 우측 버튼은 기어 중립 기능을 담당한다. 좌측 하단의 빨간 버튼은 윈드스크린 워셔액 분사를, 우측 하단의 빨간 버튼은 피트 레인에서의 속도제한을 위한 크루즈 컨트롤을 구동시킨다.
중앙 상단에 위치한 녹색 버튼 중 좌측 버튼은 라디오 교신을 담당하고 우측 버튼은 확인 기능을 담당한다. 이 버튼은 드라이버들이 피트 라디오를 통해 요청받은 내용대로 설정을 변경했음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세팅 변경은 주로 로터리 타입으로 드라이버가 스위치 조작을 위해서 한 손을 떼야 하므로 거의 직선구간에서만 설정을 변경한다.
멀티라고 부르는 두 개의 로터리 스위치는 좌측이 ABC 세팅을, 우측은 숫자를 선택한다. 엔진 관리나 연료 관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에는 A2, B3와 같이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이 배정되어 있다. 다른 세 개의 로터리 스위치는 각각 브레이크 밸런스 사전 설정하고 노면의 건조상태에 따른 트랙션 컨트롤 설정해 하이브리드 전략을 담당한다.
어두운 곳에서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형광 컬러를 적용했으며, 이 컬러들은 드라이버의 헬멧 위에 장착된 블랙 라이트 램프에도 반응한다.
스티어링 휠은 카본 소재로 제작되었고 핸들 그립 부분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로 처리했다. 그립이 비교적 좁은 편이지만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장착해 드라이버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공간 사이로 손가락을 뻗으면 스티어링 휠 후면에 배치된 여섯 개의 패들에 접근할 수 있다. 가운데 위치한 패들은 기어변속을 담당하고 우측 패들을 당기면 쉬프트 업, 좌측 패들을 당기면 쉬프트 다운이 실행된다. 좌우측 패들의 기능이 동일한 하단 패들은 클러치 조작에 사용되며 진입한 코너가 좌커브인지 우커브인지에 따라 드라이버가 조작이 편한 패들을 사용하면 된다.
부스트 기능을 담당하는 좌측 상단 패들은 드라이버의 취향대로 부스트 패들을 사용할지, 전면에 배치된 부스트 버튼을 사용할지 선택이 가능하다. 우측 상단 패들을 사용하면 에너지 수동 회수가 시작되며 핸드브레이크를 약하게 걸어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자료 / Porsche Korea PR
편집 /
강현구 기자 (메가오토 컨텐츠팀)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