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는 자금력이 부족한 만큼 대우차를 인수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성봉(李晟鳳) 연구위원은 30일 \'대우자동차 처리 시나리오별 예상 효과\'라는 자료를 통해 현대자동차가 대우차를 인수할 경우 연간 40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함으로써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나 자금력이 없다는 점과 국내 시장 독점에 따른 폐혜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GM이나 포드 등 외국 자동차사의 대우차 인수는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을 자연스럽게 이루고 국산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이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현대차가 외국 업체와 제휴해 대우차를 인수하는 경우도 외국자본 유치 등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대우차를 국유화한 후 운영 수익권을 외국기업에 공개 입찰할 경우, 일정부분 개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국유화 과정에서 공적 자금 투입의 타당성과 채권기관의 출자전환 문제 등이 제기된다고 이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외국 유수 업체가 대우차를 인수하면 국내 자동차 산업기반이 위협받는 등의 단점이 있으나 선진적 경영 시스템을 통한 국산차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등 장점이 훨씬 많다\"고 주장했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