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 출시된 르노삼성차 SM3 1.6 모델이 첫 달에 ‘순항’하는 등 1600㏄급 준중형차가 ‘대박’을 예고하고 있다.
차업계는 1600㏄급 모델로 다소 주춤해진 준중형차 전성시대를 부활시킨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기존 1500㏄급은 내수시장에서 점차 자취를 감출 전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차가 지난 7월 1일 국내 첫 1600㏄급 모델로 선보인 ‘SM3 CVTC 1.6’은 지난 한 달간 내수시장에서 1186대가 팔려 전체 SM3 판매량(1782대)의 3분의 2(66.6%)를 차지했다.
SM3는 지난 5∼6월 아반떼, 쎄라토, 라세티와 맞선 ‘준중형 4파전’에서 꼴찌를 면치 못했으나 지난달에는 1.6 모델의 선전에 힘입어 간발의 차이이긴 하나 단숨에 2위로 뛰어올랐다. 지난달 준중형 모델의 내수 판매 대수는 아반떼 4521대, SM3 1782대, 쎄라토 1737대, 라세티 1730대 등의 순이었다.
현대차가 지난달 21일 출시한 1600㏄급 ‘뉴 아반떼 XD 1.6’도 지난달 630대의 내수 판매 기록으로 전체 아반떼 내수 판매량의 13.9%를 차지해 비교적 순조롭게 출발했다. 현대차는 이달에는 아반떼 모델 내수 판매 중 1.6 모델 비중이 30%대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18일 출시된 기아차 ‘쎄라토 1. 6 CVVT’ 모델도 계약 첫 날인 2일 31대(가집계 기준)의 계약고를 기록, 이날 쎄라토 계약(약 70대)의 44%를 차지했다. GM대우차도 다음달 중으로 1600㏄급 라세티를 내수시장에 출시, 1600㏄급 준중형차 경쟁에 가세할 예정이다.
차업계는 내수시장에 1600㏄급이 출현함으로써 1500㏄급보다 한층 개선된 힘과 성능을 전면에 내세워 소형 부문과의 확실한 차별화를 통해 준중형차 전성기를 되찾겠다는 복안이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