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기량별로 등급을 매기는 현행 자동차 공인연비제도가 개선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 산하 에너지관리공단은 9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자동차 공인연비제도 개선을 위해 연구과제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과제는 현재 공인연비 등급을 매길 때 적용하는 배기량 기준을 줄이는 것과 아예 없애는 방안 등 두 가지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현행 공인연비 등급제도는 배기량의 범위를 정하고, 해당 범위 내에서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라며 "공인연비제도의 경우 에너지효율을 높여 에너지수요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구방안은 배기량별 기준을 축소하거나 아예 ℓ당 주행거리만으로 등급을 매기는 쪽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입장은 없지만 자동차회사가 최대한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자동차 공인연비는 800cc, 1,100cc, 1,400cc, 1,700cc, 2,000cc, 2,500cc, 3,000cc 이하와 3,000cc 초과 등 총 8개 배기량군으로 나눠져 있다. 이는 다시 5가지 ℓ당 주행거리 기준으로 분류된 후 해당 차종의 측정된 공인연비가 대입돼 소비효율등급이 매겨진다. 예를 들어 1,998cc의 중형 승용차는 ℓ당 주행거리가 14.3km 이상이면 1등급, 12.5km 이상은 2등급, 10.7km 이상은 3등급, 8.9km 이상은 4등급, 8.9km 이하는 5등급이다.
에너지관리공단의 계획대로라면 지금의 기준 배기량군은 8개에서 최소 4~5개 정도로 줄어든다. 이 경우 현재 높은 등급이 부과돼 있는 배기량이 큰 차들의 등급이 하향조정될 수밖에 없다. 즉 2,000cc 초과 2,500cc 이하 기준과 2,500cc 초과 3,000cc 이하 기준이 2,000cc 초과 3,000cc 이하로 합쳐지면 2,500cc 초과 3,000cc 이하 군에서 높은 등급을 받았던 차들의 등급은 상대적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는 것.
이런 이유로 일부에선 기준변경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내고 있다. 특히 배기량이 국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차에 집중된 수입차업계는 연비제도 변경을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특히 그 동안 연료효율이 낮다는 인식을 없애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 온 수입차업계로선 이 같은 제도 개선이 자칫 판매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수입차업계의 시각은 기우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업계는 공인연비 등급이 자동차 구매에 적으나마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지만 요즘 공인연비를 그대로 믿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며 "공인연비 등급이 자동차판매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적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인연비와 관계없이 국산차도 배기량이 큰 차가 많이 팔리는 시대"라며 "공인연비제가 개선되는 건 에너지소비효율을 보다 높이자는 원래의 취지에 더 부합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