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면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차량 고장이나 미숙한 대처로 자칫 황금과 같은 휴가를 도로 위에서 보내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갑작스러운 차량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 보쉬코리아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가 제안하는 알아두면 유용한 자동차 응급처치법을 소개한다.
공구함과 비상장비 구비
휴갓길은 지리적으로 낯설어 비상시 대처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비해 규격과 용도에 맞는 비상장비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먼저 공구함은 가급적 다양한 규격의 소켓 렌치와 복스 라쳇, 드라이버 등을 포함한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 밖에도 야간 수리를 대비해 손전등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으며, 소형 해머 등을 함께 준비해 완력이 필요한 수리 작업에 사용하면 좋다. 부스터(점프)케이블도 구비해두면 예상치 못한 배터리 방전 사태에 대처할 수 있다.
특히 도로 위의 상황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이다. 차량 고장 발생 시, 안전한 대응을 위해 차량용 삼각대와 반사체 조끼를 준비하도록 하자. 이러한 장비들은 주-야간에 주변 차량이 내 차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 2차 사고를 예방해준다. 이 밖에도 차량 화재나 내부에 갇힐 경우에 대비해 휴대가 간편한 스프레이형 차량 소화기와 차량용 해머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비상시 첫 단계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
비상시에는 삼각대를 이용해 운행 중인 주변차량에 고장 및 정지 상태를 알리고 견인차를 불러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사설 견인 서비스는 자칫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급적 가입한 보험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무료 견인 서비스 이용 횟수를 초과한 경우라면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 중인 긴급 견인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배터리와 퓨즈 상식은 기본
배터리 방전은 엔진 점화를 위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을 야기한다. 배터리 방전 시에는 새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흔히 ‘점프’라고 부르는 타 차량의 배터리를 통해 시동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배터리 교체나 점프는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 다음의 양극과 음극 연결 순서만 잘 지킨다면 무사히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와 연결된 음극(-)의 케이블을 분리한 후 양극(+)을 분리한다. 규격에 맞는 라쳇이나 스패너로 각각의 단자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를 제거해주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새로운 배터리를 연결할 때는 분리와 반대의 순서로 양극(+), 음극(-) 순서로 하면 된다.
여분의 배터리나 충전기가 없는 경우는 주변 차량에 도움을 요청 할 수 있다.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주차 후, 상대 차량의 배터리와 내 차량의 배터리를 연결한다. 내 차의 양극(+)과 상대 차량의 양극(+), 내 차의 음극(-)과 상대 차량의 음극(-) 순으로 연결한 후, 시동을 걸고 반대의 순서로 케이블을 분리한다. 점프 성공 후에는 시동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퓨즈는 배터리와 전자 장치 사이에서 전류의 과부하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로부터 필요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퓨즈가 끊어지면서 관련 장치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따라서 조명이나 와이퍼, 오디오 등 각종 전자 장치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는다면 퓨즈박스를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경우 운전석 페달 옆, 퓨즈박스에 연결된다.
퓨즈 단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평소 퓨즈박스의 위치, 각 퓨즈의 규격 및 연결된 장치들의 리스트가 정리되어 있는 정비 매뉴얼, 교체를 위한 예비용 퓨즈를 구비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정비 매뉴얼을 참고하여 작동하지 않는 장치와 연결된 퓨즈를 찾아 뽑아낸 후 단락 상태를 확인해서 투명한 퓨즈 가운데 금속 고리 부분이 끊어져 있다면 새로운 퓨즈로 교체해야 하며, 교체 시 반드시 동일한 규격의 퓨즈를 사용해야 한다.
타이어 손상 시, 스페어 타이어 교환도 직접
타이어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평지에서 작업해야 하며, 버팀목 등을 이용해 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야 한다. 바퀴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에 렌치를 끼워 넣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반대쪽을 발로 밟아, 단단히 고정된 볼트를 풀어준다.
각 볼트의 고정 상태를 푼 후에는 바퀴 뒤(뒷 바퀴의 경우 앞)에 있는 바디 프레임의 고정대에 비상용 리프트를 받치고 손잡이를 돌려 차체를 들어올린다. 이후에는 손으로 볼트를 마저 풀고 바퀴를 빼낸다. 예비용 타이어 장착은 역순으로 바퀴를 맞춰 넣고 각각의 볼트를 손으로 잠근 후, 차량을 내리고 렌치를 이용해 바퀴를 단단히 고정한다.
추가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서비스(이벤트, 소유차량 인증 등) 이용을 위해, 카이즈유 ID가입이 필요합니다.
카이즈유 ID가 있으신가요?
카이즈유 ID를 로그인 해 주세요.
SNS계정과 연결되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